여, 대(對)미 투자 패키지, 톱-다운 방식 환경
여, 대(對)미 투자 패키지, 톱-다운 방식 환경 조성 강조6월 3차 기술협의·각료급 중간점검 회의 일정 구체화할 듯2021~2022년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위원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사무실에서 과 인터뷰하고 있다. ⓒ News1 류정민 특파원(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이재명 정부 첫 통상교섭본부장에 여한구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이 10일 임명됐다.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7월8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산업부 내에서도 통상전문가로 손꼽히는 여 본부장의 복귀는 우리나라의 대(對)미 협상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릴 것이란 평가다.이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미국과 관세협상을 진두지휘할 통상교섭본부장에 문재인 정부 시절 한 차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강 대변인은 "여 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통상정책국장으로 통상 정책을 총괄했고, 국제통상과 경제협력 전반을 조망하는 정책수립과 협상능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며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대미 관세 협상 최전선 서게 된 여한구…'대(對)미 투자 패키지' 발언 재조명 새 정부 첫 통상교섭본부장을 맡게 된 여 본부장에게 당면한 시급 과제는 '대미 관세 협상'이다. 통상전문가로서 대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대응 전략을 조언해 온 여 본부장의 지난 발언을 통해 향후 우리의 협상 전략을 유추해 볼 수 있다.여 본부장은 미국의 관세 압박이 본격화한 지난 4월 국내 한 세미나에 참석,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국내 여러 기업들이 연합, '대미 투자 패키지'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여 본부장은 당시 세미나에서 "일본은 소프트뱅크 회장이, 대만은 TSMC가 트럼프 대통령 옆에서 각각 1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했다"며 "우리나라는 한 개 기업이 그 정도 규모의 투자를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할 수 없다면 모아야 한다"며 "각자도생식으로 여기서 한 번 저기서 한 번 발표하기보다 우리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모아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에 발표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크레딧(신뢰)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여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정책 결정을 주도하는 '톱 다운(Top-down)' 스타일인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여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고 장여, 대(對)미 투자 패키지, 톱-다운 방식 환경 조성 강조6월 3차 기술협의·각료급 중간점검 회의 일정 구체화할 듯2021~2022년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위원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사무실에서 과 인터뷰하고 있다. ⓒ News1 류정민 특파원(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이재명 정부 첫 통상교섭본부장에 여한구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이 10일 임명됐다.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7월8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산업부 내에서도 통상전문가로 손꼽히는 여 본부장의 복귀는 우리나라의 대(對)미 협상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릴 것이란 평가다.이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미국과 관세협상을 진두지휘할 통상교섭본부장에 문재인 정부 시절 한 차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강 대변인은 "여 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통상정책국장으로 통상 정책을 총괄했고, 국제통상과 경제협력 전반을 조망하는 정책수립과 협상능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며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대미 관세 협상 최전선 서게 된 여한구…'대(對)미 투자 패키지' 발언 재조명 새 정부 첫 통상교섭본부장을 맡게 된 여 본부장에게 당면한 시급 과제는 '대미 관세 협상'이다. 통상전문가로서 대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대응 전략을 조언해 온 여 본부장의 지난 발언을 통해 향후 우리의 협상 전략을 유추해 볼 수 있다.여 본부장은 미국의 관세 압박이 본격화한 지난 4월 국내 한 세미나에 참석,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국내 여러 기업들이 연합, '대미 투자 패키지'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여 본부장은 당시 세미나에서 "일본은 소프트뱅크 회장이, 대만은 TSMC가 트럼프 대통령 옆에서 각각 1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했다"며 "우리나라는 한 개 기업이 그 정도 규모의 투자를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할 수 없다면 모아야 한다"며 "각자도생식으로 여기서 한 번 저기서 한 번 발표하기보다 우리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모아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에 발표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크레딧(신뢰)을 얻어야 한다"고 강
여, 대(對)미 투자 패키지, 톱-다운 방식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