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에 유학 중 드론을 띄워 군사
미국 대학에 유학 중 드론을 띄워 군사 시설을 무단 촬영한 혐의로 미 당국에 체포된 중국 유학생이 유죄를 선고받고 징역살이를 마친 뒤 중국으로 쫓겨났다. 미 당국은 이 중국 유학생에 대한 혐의와 사법처리 및 추방 과정을 상세하게 발표하면서 실명과 얼굴이 정면으로 찍힌 사진까지 공개했다. 최근 한국에서도 잇따라 적발되고 있는 중국 유학생들의 군 시설 불법 촬영 행위를 안보의 최대 위협으로 간주하고 중국을 겨냥해 엄중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세관단속국 직원의 제복./ICE 미 이민세관단속국(ICE) 필라델피아 사무소는 14일 재미 중국유학생 S(성 이니셜)를 지난 7일 중국으로 제거했다(removed to China)고 밝혔다. 보통 사법 기관이 불법 이민자나 범죄자를 미국 밖으로 쫓아낼 때는 추방한다(extradite)라는 말 대시 더욱 강한 느낌의 ‘제거’라는 말을 쓴 것이다. ICE는 “S가 드론으로 미군 기지 시설물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법원에서 유죄 선고를 받음에 따라 그를 국가안보 위협으로 지정한다”며 추방 배경을 설명했다. ICE는 그러면서 캐주얼 옷차림에 안경을 쓴 20대 초반의 앳된 젊은이의 모습을 한 S의 실명, 공항 입국 당시로 보이는 전신사진까지 모자이크 없이 공개했다. 미 ICE가 최근 '제거'라는 말로 추방한 전 재미 중국 유학생 S의 전신 사진. ICE는 S의 실명과 모자이크하지 않은 사진을 모두 공개했다. /ICE 이에 따라 유학생 비자를 받아 미국에 입국했던 S는 4년만에 ‘미국의 국가 위협’으로 규정된 상태에서 미 교도소에서 감옥살이까지 마친 뒤에 고국으로 쫓겨났다. S 는 2021년 8월 유학생 비자(F-1)로 샌프란시스코를 통해 미국으로 입국한 뒤 미네소타대에서 농업기술 전공 대학원생으로 유학했다. 그는 작년 1월 연방수사국(FBI)에 체포됐다. 드론을 띄워 미 정부의 국가방위공역을 침범해 버지니아주 노퍽에 있는 해군 시설물 등을 촬영한 것으로 조사됐다. ICE가 군 시설 무단 촬영 혐의로 체포된 중국 유학생 S를 추방한 뒤 그를 '제거했다'고 발표했다./ICE 중국 유학생이 드론으로 군 시설물을 촬영한 정황이 확인되자 미 당국은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했다. 우선 체포 일주일만에 S의 유학 비자가 [창사(중국)=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앞으로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좋아질 수 있겠지만, 이번 미중 관세갈등을 계기로 자체 기술 개발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 현재 개발 중인 반도체 칩을 더 많은 로봇 제품에 적용하는 게 현재 목표다.” 지난 14일 중국 중부 후난성 창사시 줌라이언 공장 앞에 중장비들이 세워져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미·중 관세 협상이 마무리된 직후인 지난 14일, 중국의 중부내륙에 위치한 ‘샹장(湘江)신개발구’의 중심지인 후난성 창사(長沙)시를 찾았다. 샹장신개발구는 우리나라의 국가산업단지와 비슷한 형태다. 이곳에서 만난 중국 최대 기계장비(농기계·건설기계) 개발업체인 줌라이언(중국명 중롄중커)의 류젠창 해외법인 총괄 매니저는 회사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기술의 자립화’를 꼽았다. 그는 “대외무역에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해외 기술에 기대기보단 첨단 장비와 부품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필요성을 실감했다”고 말했다.줌라이언은 최근 디지털·신에너지·신소재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합한 휴머노이드 로봇도 차세대 사업으로 밀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중장비도 이러한 휴머노이드로봇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이 회사뿐만이 아니다. 샹장신개발구에 있는 대다수의 기업들은 불안정한 무역 환경에서 자체 기술 개발과 수출 다변화를 추진 중이라고 한목소리로 답했다.의료기기(호흡기)를 미국과 유럽 등 125개국에 수출하고 있다는 후난비욘드(중국명 후난비양)의 영업 담당자는 “주로 미국과 거래를 해오다가, 미국 정부의 규제가 강해지면서 수십여개 국가로 수출 대상을 확대해왔다”면서 “올해도 유럽 등 다양한 국가와 수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미국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자, 중국이 자체 첨단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샹장신개발구뿐 아니라 전국 각 지역에 첨단기술 굴기를 앞세워 고부가가치 산업을 집중 육성 중이다. 샹장신개발구가 있는 후난성의 경우 기존 제조업과 디지털·과학기술·신에너지 등을 융합한 첨단 제조업을 신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올해 업무보고에선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를 9% 이상 확대해 AI·
미국 대학에 유학 중 드론을 띄워 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