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직원분께서 마지막까지 손수 구워

onion

2

25-07-16 03:45

직원분께서 마지막까지 손수 구워주시는 칠곡3지구 밥집이므로 따로 손댈 거 없이 오롯이 식사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어요.지난달 대구 소고기집 소마리에 다녀왔어요.자동으로 도르르 나오는 소금도 신기해서 괜스레 한번 찍어보았어요.부들부들한 두부에 양파, 고추 등 건더기가 듬뿍이고 칼칼한 국물도 개운했어요.저희는 평일 저녁에 방문했는데 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날이었음에도 사람들이 많이 계셔서 입소문을 실감할 수 있었는데요.아기의자도 여러 대 마련돼 있어 가족 외식 장소로도 제격이었어요.매주 월요일 정기휴무된장찌개는 불판에 담아주셨는데 구수하면서도 얼큰해서 마무리로 그만이었어요.주문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기본 반찬들이 스피드하게 서브되었어요. 먼저 무말랭이와 숙성이 잘 된 배추김치가 등장했고요.찍어 먹는 양념들도 여러 가지가 나왔는데 인원수대로 세팅돼서 위생적인 점도 마음에 쏙 들었어요.한점씩 일일이 뒤집어가며 정성껏 그릴링 해주시는데 맛있는 냄새가 솔솔 올라오니 배가 고파졌어요.12:00~23:00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로23길 30-23 105호소마리는 이름처럼 다양한 말이를 메인으로 차돌박이, 우삼겹과 불닭볶음면 등 사이드가 준비되어 있는 대구 소고기집이에요.어디서든 나오면 그저 반가운 콘 옥수수도 빠질 수 없는 찬이랍니다.첫판은 쪽파와 깻잎이 들어있는 소말이부터 스타트했는데 불판에 반질반질하게 들기름부터 발라주셨어요.굽는데 시간이 조금 소요되다 보니 새우는 주방에서 구워서 갖다주셨는데 윤기 자르르 먹음직스러웠어요. 이탈리아 베니스의 자르디니 공원과 아르세날레에서 진행 중인 2025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는 카를로 라티 총감독이 내건 ‘지성, 자연, 인공, 집단’이라는 주제 아래 건축은 이제 자연을 통제하는 대신 자연과 협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건축적 실험을 보여주고 있다. 아르세날레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국가관 황금사자상을 받은 바레인관에서 큐레이터가 제시한 자연 친화적 쉼터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해안가 창고를 개조한 기역 자 긴 복도형 전시장인 아르세날레의 거의 맨 끝에 올해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국가관 황금사자상을 받은 바레인관이 있었다. 낮은 천장에 투박한 포대 자루를 켜켜이 쌓아 만든 간이 쉼터가 전시됐다. ‘히트 웨이브’라는 제목의 이 작품은 공사장 인부들이 더위를 피하는 흔한 휴식 방식처럼 보인다. 하지만 낮은 천장에 통풍 시스템과 좌석을 냉각시키는 방식을 갖춰 사막의 건설 현장과 공공 공간을 위한 쉼터로 제안됐다.제19회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가 개최 중인 이탈리아 베니스를 최근 다녀왔다. 베니스 비엔날레는 미술전과 건축전이 매년 번갈아 열린다. 각국이 자체적으로 뽑은 총감독이 하는 국가관 전시와 비엔날레 위원회가 선정한 총감독이 특정 주제 하에 전시를 꾸미는 본전시로 나뉜다. 올해는 MIT교수로 재직 중인 이탈리아 건축가 카를로 라티(54)가 총감독을 맡았다. 그가 제안한 주제는 ‘지성, 자연, 인공, 집단(Intelligens. Natural. Artificial. Collective)’이다. 그는 당대를 “지구가 역사상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가혹한 시기”라 규정하고 중대한 전환기 건축가의 태도를 ‘완화’보다는 ‘적응’으로 전환한 것을 주장했다.국가관 전시라도 아무래도 총감독이 제시한 주제 흐름에서 비켜날 수 없다. 건축가 안드레아 파라구나가 기획한 바레인관 전시도 적응의 관점으로 읽혔다. 즉 “건축의 미래는 자연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협력하는 것에 있다”라는 메시지가 느껴진다. 본전시 황금사자상을 받은 ‘운하 카페’에 설치된 운하의 물을 정화하는 시스템. 총감독이 본전시에 초대한 750여명 참가자 중에서 뽑힌 황금사자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