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어린이치과
여름이 끝나가면서 부추와 상추 등 일부 채소 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상당수 농산물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가을 급등했던 배추값도 하락했지만, 강원 지역 가뭄이 수급 불안의 변수로 꼽힌다.3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지난 2일 도매시장 기준 국내 거래 상위 22개 농산물 가운데 지난주 평균 가격보다 가격이 오른 품목은 8개에 그쳤다.상승폭이 가장 큰 작물은 부추로 1주일 전보다 20.1% 오른 ㎏당 4001원에 거래됐다. 부추는 시기적으로 여름을 최저점으로 겨울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는 작물이다. 상추도 전주 대비 12.3% 올라 ㎏당 7270원에 판매됐다. 풋고추(12.0%)와 오이(10.4%)가 10%대 상승률을 보였으나 대체적인 오름폭이 크지 않았다. 풋고추와 상추는 지난주보다 올랐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40% 가까이 떨어진 가격이다.호박, 토마토, 파프리카, 당근 등은 10% 넘게 하락했다. 호박은 전주 대비 15.3% 내린 ㎏당 1567원이었다. 토마토는 ㎏당 2422원으로 같은 기간 13.4% 떨어졌다. 제철이 끝나가면서 가격이 오르는 시기지만 수급 불균형에 따라 가격이 내렸다. 토마토는 겨울에는 하루 150t 정도 거래되고 초여름에는 600t 넘게 매매가 이뤄진다. 당근은 1주일 새 11% 하락한 ㎏당 979원으로 작년의 45% 수준에 거래됐다.주요 작물인 무는 11.0%, 배추는 3.7% 하락했다. 무와 배추 시세는 전년 대비 30~40% 낮지만 지난해 이들 가격이 워낙 높았던 터라 단순 비교가 어렵다. 배추는 작년 9월 19일 ㎏당 2988원까지 뛰며 ‘금추’라는 말까지 나돌았다. 배추는 주요 산지인 강원도에 폭염에 이어 가뭄까지 겹쳐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정부와 김치 제조회사 등이 지난해보다 저장물량을 크게 늘려놨기 때문에 가격을 자극할 요인은 상당 부분 해소된 상황이다.KAPI는 하루 전보다 1.2% 하락한 160.24를 기록했다.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2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개막한 국제방산전시회(MSPO)장소의 중앙 가장 큰 면적을 사용한 국영 방산업체인 PGZ의 전시시설을 참가자들이 관람하고 있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약 180㎞ 남쪽에 위치한 소도시 키엘체. 인구 20만명이 채 되지 않는 이 작고 조용한 도시가 2일(현지시간) 개막한 ‘국제 방위산업전시회(MSOP) 2025’로 전 세계 방위산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이 됐다. 특히 K방산의 최대 수입국 중 한 곳인 폴란드는 유럽에서 불고 있는 ‘블록화(유럽산 무기 우선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거점이다. 5일까지 진행되는 MSPO는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로 사토리’ 방산전시회와 영국에서 열리는 ‘DSEI’ 방산전시회에 이어 세 번째로 규모가 큰 대형 행사다. 40개국 이상에서 정부 대표단이 방문하고 전 세계 811개 업체가 참가한다. 한국 주요 방위산업체들은 현지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실현시키고 있는 폴란드뿐 아니라 유럽 국가들을 상대로 수출부터 기술이전, 현지 생산까지 다양한 제안을 내놓고 있다.개막 첫날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다연장로켓인 ‘천무’(K-239)의 유도탄을 폴란드 최대 민영 방산업체인 WB그룹과 공동으로 생산하는 합작법인(JV) 설립 계약 서명식을 열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와 피오트르 보이치에호브스키 WB그룹 회장이 진행한 서명식에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장관과 조현기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이 자리를 같이했다. 합작법인은 천무의 폴란드 수출형인 ‘호마르-K(Homar-K)’에 탑재하는 사거리 80㎞급 유도탄(CGR-080)을 생산할 계획이다.손 대표는 “유럽의 방산 블록화로 수출 진입 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현지화를 통한 시장 확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JV 설립은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방안을 발표했을 때 자금 사용처에 포함됐던 사안이다.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한화시스템
김포 어린이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