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추진이 잇따라 실패함에 따라 인구 고령화 대응이 어려워졌다며 당분간 의대 정원을 기존보다 천 명 늘린 4천 명 수준으로 정해야 한다는 학계 주장이 나왔습니다.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오늘 열린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정 교수가 인용한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한의사를 제외한 한국 임상의사 수는 2.2명으로 OECD 평균 3.7명의 절반을 갓 넘는 수준입니다.우리나라 의사 수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기까지 높은 증가율을 보이다 2002년 의대 정원이 동결되면서 2010년대 중반부터 증가율이 둔화됐습니다.인구 10만 명당 의대 졸업자 수는 2015년 기준 6명으로 OECD 평균인 12.1명의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정 교수는 "OECD 국가 대부분이 2000년대 들어 고령화 대응 차원에서 의대 입학 정원을 늘린 결과 인구 10만 명당 의대 졸업자 수가 2000년 평균 8.3명에서 2015년 12.1명이 됐지만 한국은 오히려 의대 정원을 감축하고 동결해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정 교수는 지역의료 및 필수의료 공백 현상이 이러한 의사 수 부족에서 기인했다며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정 교수는 "전공의를 채우지 못하는 필수 전문과목이 속출했고, 의료 취약지나 지방 오지에서는 웬만큼 돈을 지불해선 의사를 근무하게 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의사 집단 반대에 굴복해 의대 정원 조정 정책이 계속 무산되면서 인구 고령화 대응이 힘들어짐은 물론이고 의료 정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그러면서 정 교수는 부족한 의사 수를 채우기 위해 당분간 의대 입학 정원을 4천 명 수준으로 하고 추계위원회를 통해 중장기 수요를 업데이트하자고 제안했습니다.또 "의사 인력의 지역 간, 부문 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조명아 기자(cho@mbc.co.kr)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10340_36718.html 지지 호소하는 이재명 후보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4.26 [공동취재] in@yna.co.kr (서울·광주=연합뉴스) 박경준 김영신 홍준석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민주당 텃밭인 호남에서도 90%에 가까운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며 대선후보 확정을 눈앞에 뒀다.반면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로 분류되는 김동연 후보와 김경수 후보는 네 번 중 세 번의 순회 경선을 마칠 때까지 누적 득표율이 한 자릿수를 넘지 못한 채 반전의 동력을 좀처럼 찾지 못한 모습이다.민주당은 이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호남권 대선 경선의 권리당원·전국대의원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이날 호남권 투표에서는 이 후보가 88.69%를 득표해 1위를 기록했다.이 후보 다음으로는 김동연 후보가 7.41%의 표를 얻어 2위를, 김경수 후보가 3.90%의 득표율로 3위를 기록했다.앞선 영남과 충청권 투표 결과까지 합한 현재까지의 누적 득표율은 이 후보가 89.04%, 김동연 후보가 6.54%, 김경수 후보가 4.42%다.이 후보는 충청 경선에서 88.15%, 영남 경선에서 90.81%를 기록해 압승을 거둔 바 있다.이 후보가 압도적 득표율을 이어가는 가운데 김동연 후보와 김경수 후보가 근소한 차위로 2위와 3위를 다투는 형국이 이어지고 있다.민주당은 27일 수도권과 강원, 제주 경선을 진행하는 동시에 전체 투표 반영 비율의 50%를 차지하는 일반 국민 조사 결과를 더해 최종 득표 결과도 발표한다.특별한 이변이 없다면 마지막 한 차례 경선과 일반 국민 조사에서도 이 후보가 대승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당심은 물론,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부동의 1위를 지켜온 만큼 김동연 후보와 김경수 후보가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시각이다.결국 이 후보가 합산 득표 결과 과반을 확보함으로써 별도의 결선투표 없이 27일에 민주당 대선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