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퀵플렉스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 갖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2025.6.6 hihong@yna.co.kr (끝)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말 타결한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의 3.8% 수준까지 늘릴 것을 요구하려 했다는 보도가 나왔다.워싱턴포스트(WP)는 9일(현지시간) 자체 입수한 미국 정부 내부 문서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외교·안보·정치와 관련해 활용하려 한 사례를 보도했다.WP가 입수한 '한·미 합의 초기 초안'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이 작년 기준 GDP의 2.6%인 한국 국방비 지출을 3.8%로 늘리기를 원했다. 지난해 국방 예산 59조4244억원을 기준으로 계산한 증액 규모(약 46%)는 27조3352억원에 달한다.트럼프 정부는 또 방위비 분담금도 10억달러 이상 인상할 것을 요구하려 했다. 이와함께 대북 억제를 계속하는 동시에 대중국 억제를 더 잘하기 위해 주한미군 태세의 유연성을 지지하는 정치적 성명을 한국이 발표할 것”이라는 내용도 한국에 요구할 사항으로 담았다.한미 관세 협상은 타결됐지만 미국 정부가 검토한 이런 요구 사항은 계속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달 말 워싱턴DC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 때 한국 국방비 지출 증액 및 전략적 유연성 지지에 대한 미국 측 요구가 구체화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따른다.최호 기자 snoop@etnews.com 야생으로 방사한 붉은여우가 방사 전 자연적응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지난 4월 붉은여우를 복원 중인 국립공원공단 직원들이 전남 해남군 어불도를 찾았다. 지난해 소백산에서 GPS 발신기를 부착해 방사한 여우 한 마리가 바다를 건너 섬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김낙원 국립공원공단 계장은 “육지에서 500m 떨어진 섬까지 헤엄쳐서 간 것으로 보인다”며 “5일 정도 섬 야산에서 머물다가 다시 육지로 나왔다”고 말했다. 한때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던 여우가 다시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토종여우 복원 사업을 시작한 이래 야생으로 돌려보낸 개체들이 점차 활동 반경을 넓힌 결과다. 국립공원공단이 여우에 부착된 GPS 발신기의 좌표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5개 도(경기·강원·충청·전라·경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공원공단이 방사한 붉은여우의 활동 좌표(점)와 지역별 활동 비율. 국립공원공단 제공 지역별 활동 비율은 방사 지역인 소백산 권역이 55%로 가장 컸고, 경북(34%)·강원(14%)·충북(9%)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인 경기와 소백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전남에서도 비율은 1% 정도로 작지만 여우가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쥐잡기 운동에 멸종위기…2012년부터 복원 멸종위기 야생생물 Ι 급인 붉은여우는 과거 한반도 전역에 분포했으나 60년대 쥐잡기 운동과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80년대 이후 멸종한 것으로 간주됐으나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되면서 2012년부터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 6일 붉은여우가 복원시절을 빠져나가 야생으로 향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복원시설 출입문을 개방해 여우가 자연스럽게 시설 밖으로 나가는 형태로 방사를 진행했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공단은 붉은여우를 인공 증식해 해마다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있다. 지난 6일에도 여우 30마리를 방사했는데, 90%가 지난해 태어난 1년생 새끼들이다. 방사는 여우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야생에 천천히 적응할 수 있도록 복원시설 출입문
쿠팡퀵플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