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퀵플렉스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1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신자유연대 등 보수 단체가 개최한 집회에 참석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2025.7.18/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탄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선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도 끊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윤 위원장은 1일 공개된 동아일보와 인터뷰에서 전한길 씨가 입당 후 '윤석열 전 대통령을 품는 자를 지지하겠다'는 등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에 대해 "전 씨가 본명(전유관)으로 입당해 (지도부가) 몰랐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입당 후 계속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 전 대통령 옹호 발언을 했다"고 지적했다.또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당 대표를 뽑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한 것도 당원 가입 이후 행적으로 지도부가 단호하게 대처해야 하지만 굉장히 미온적이며 갈팡질팡했다"고 송언석 비대위를 겨냥했다.윤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과 거의 한 몸으로 인식되는 전 씨가 밖에서 그냥 떠드는 게 아니라 당원으로 가입했고, 당은 그를 안방(국회)으로 불러들여서 행사(토론회)까지 했다"며 "윤 전 대통령과 절연 여부에 당의 존폐가 달려있는데 윤 전 대통령과 한 묶음으로 보이는 사람을 옹호한다면 국민에게 어떤 인상을 주겠나"고 어이없어했다.이에 윤 위원장은 "잘못된 과거와 단절하는 게 탄핵의 바다를 건너는 첫걸음으로 윤 전 대통령과 제대로 절연하지 않고는 바다를 건널 길이 없다"며 "전한길 씨는 단순한 자연인이 아니라 당과 윤 전 대통령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인물이다"라며 윤 전 대통령과 절연했다는 걸 보이려면 전 씨를 당에 놔둬선 안 된다고 요구했다.또 윤 위원장은 "현역 의원들과 당권 주자까지 '전한길을 끌어안고 가야 한다'며 옹호하고 있다"며 김문수, 장동혁 당대표 후보와 '덧셈 정치가 필요하다. 전 씨와 절연에 반대한다'는 윤상현 의원, '당의 다양성을 위해 좋은 일'이라는 인요한 의원을 소환했다.그런 뒤 윤 위원장은 "그럼 히틀러나 스탈린도 '다양성을 위해 끌어안고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맞냐"며 "극(極)이란 말은 민주주의가 용인하는 범위를 벗어날 때,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파괴하는 사람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고 비판했다.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때 서른 번이나 탄핵을 시도해 우리나라 민전주시정연구원이 '전주 생태관광의 가능성과 과제'에 대한 연구과제를 제시한 날, 환경단체는 전주시의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난개발과 특혜의혹으로 얼룩졌다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전주시정연구원은 31일, '전주 도심형 생태관광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안한 '이슈브리프 제8호'를 내면서 "코로나19 이후 관광 수요가 지속가능성과 체험,로컬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또한 도심 속 숲과 하천, 공원에서 자연과 문화에술을 결합한 복합형 여가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국내에서도 자연과 문화를 보전하면서 지역사회에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관광형태인 생태관광에 주목하면서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도 생태관광 지역을 지정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전주시의 우수한 도심 생태자원(만경강,건지산,삼천 등)을 역사.문화 자원과 연계한 도심형 생태관관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특히 연구원은 전북자치도가 추진해 온 광역 차원의 생태관광 정책과 연계해 전주시가 생물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전략을 마련하면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고 지역 관광의 질적 전환을 이끌 수 있다고 제시했다.이날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내고 "전주시가 도시공원 일몰제의 대안으로 추진 중인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난개발과 특혜의혹으로 얼룩지고 있다"고 비판했다.특히 전주시가 공원부지 매입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면서 공원 축소 위기를 자초했으며 재정 부족을 핑계 삼는 사이에 개발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민간업자들이 토지를 매입하고 민간특례사업을 제안하는 등 사익 추구의 장이 되고 말았다고 성토했다.이 단체는 전체 부지 가운데 개발면적을 10% 이내로 엄격히 제한하며 공공성 확보를 최우선 기준으로 적용한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일부 지자체를 예로 들면서 보건 가치가 높거나 민원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 일수록 개발을 최소화하는 것인 원칙일텐데 전주시는 이러한 선진 사례들을 외면하고 덕진공원의 공공적 기능을 포기하려는 것인지 물었다.전북환경운동연합은 "시민의 권리이자 미래세대의 자산인 도시공원과 도시 숲을 지키고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시민의 이익이 아
쿠팡퀵플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