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KBS·MBC도 보도한 조선중앙통신 등 인

sans339

2

25-07-31 16:33

웹사이트상위노출 KBS·MBC도 보도한 조선중앙통신 등 인용 보도, 국보법 폐지 주장 문제 삼아 전두환 정권 고문·조작 사건 피해자이기도 한 박해전 대표, 휴대전화 등 압수돼[미디어오늘 김예리 기자] ▲온라인매체 사람일보 웹사이트 갈무리 경찰이 인터넷매체 사람일보 편집인에 대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압수수색했다. 윤석열 정부였던 지난해 10월 압수수색에 이어 두 번째다.사람일보 박해전 대표(편집인)에 따르면 대전지방경찰청은 지난 28일 대전 동구 사람일보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박 대표 주장과 그가 제시 받은 영장 내용을 보면 경찰은 그의 휴대전화와 취재자료 도서 7권을 압수했다. 사무실 내 정보저장매체 내용은 복제해 압수했다.박 대표는 지난 30일 미디어오늘에 “28일 오후 누군가 사람일보 사무실 문을 두드려 나가보니 경찰 20여 명이 있었다.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하더라”라고 했다. 그는 “신체 수색도 영장에 적혀 있어 수중에 있던 휴대전화를 빼앗겼다”며 “'용납하지 못하니 사무실에 들어가지 말라'고 말하고, 나 자신은 편집실 문을 닫고 자리를 떴다. 이후 경찰이 들어가 압수수색한 것 같다. 휴대전화는 지금까지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경찰은 박 대표에 국보법 7조(찬양·고무 등)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영장엔 사람일보 사이트에 게재한 정치평론 글과 보도 기사가 이적표현물로 규정됐다. 박 대표는 해당 기사들에 대해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을 인용한 보도도 범죄사실에 포함됐다. 공영방송 한국방송공사(KBS)와 문화방송(MBC) 텔레비전, 연합뉴스와 일간 신문, 인터넷 언론사가 함께 보도한 내용이었다”고 했다.영장엔 국보법 폐지 주장을 “북한의 선전·선동”이라 규정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사람일보의 2019년 3월 <우리 민족 자주통일 평화번영의 길로> 기사를 두고 “대한민국 정부를 미제 식민과 분단의 역사로 규정하며 정통성을 부정”했다며 “연방제 통일, 국보법 폐지에 동조하는 등 북한의 대남 선전선동 및 주의주장에 동조하는 내 쓰나미 경보 발령 후 하와이 호놀룰루의 교통 대혼란 (호놀룰루 로이터=연합뉴스) 2025년 7월 29일 오후 쓰나미 경보가 발령된 후 호놀룰루 도심에 자동차들이 한꺼번에 몰려나와 교통체증이 빚어지고 있다. (REUTERS/Marco Garcia) 2025.7.31.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30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지역 캄차카반도 인근에서 일어난 규모 8.8의 대지진에 따른 쓰나미(해일)는 별다른 인적 피해를 끼치지 않았으나, 의외로 하와이에서 교통 대혼란을 일으켰다.AP통신은 여러 요인이 겹쳐 한꺼번에 너무 많은 자동차가 쏟아져나오면서 하와이의 도로망이 곳곳에서 포화됐다고 분석했다.그러면서 ▲ 지진 발생 시각 ▲ 지진 진앙과 하와이 사이의 거리 ▲ 굳이 대피할 필요가 없는 지역에 있던 사람들까지 '과잉 대피'에 나선 점 등을 꼽았다.지진 발생 시각은 캄차카 현지시간으로 30일 오전 11시 24분, 하와이 현지 시간으로는 29일 오후 1시 24분이어서 마침 퇴근 러시아워가 시작되기 조금 전이었다.신속하게 지진 소식이 알려지고 쓰나미가 예보되면서 하와이에 있는 수많은 사람이 대피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으나, 자동차를 놔두고 몸만 대피해야만 할 정도로 다급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다.하와이가 지진 진앙으로부터 약 5천㎞ 거리에 있기 때문에 쓰나미가 하와이에 닿을 예상 시각은 29일 오후 7시께로 예보됐다.쓰나미가 오기 전까지 남아 있는 몇 시간 동안 자동차에 휘발유를 채워넣거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놓기 위해 차를 몰고 나온 사람들도 꽤 있었다.이런 요인들이 퇴근 러시아워 시간대에 겹치면서 엄청난 교통체증이 생겼다.이번 지진에 따른 예상 쓰나미 규모를 감안할 때 굳이 대피할 필요가 없었던 사람들까지도 다양한 이유로 대거 자동차를 몰고 도로로 나오면서 '과잉 대피'까지 벌어졌다. 하와이 항구 근처의 교통 대혼란 (와이키키<미국 하와이주 오아후> AFP=연합뉴스) 2025년 7월 29일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 섬 와이키키의 알라웨이항(港) 근처에서 항구를 떠나려는 자동차들이 몰려 교통혼잡이 벌어지고 있다. (Photo by Eugene Tanner / AFP) 2025.7.31. 웹사이트상위노출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