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천문연, 8일 오전 2시30분24초 시작

sans339

1

25-09-01 21:34

김포 어린이치과 천문연, 8일 오전 2시30분24초 시작3년 만에 예보..남서쪽 하늘서 관측 가능오는 8일에 있을 개기월식 진행도. 천문연 제공오는 8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이번에는 날씨가 맑으면 국내 모든 지역에서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한국천문연구원은 8일 오전 2시 30분 24초에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시작된다.이후 오전 3시 11분 48초에 최대가 된 뒤 3시 53분 12초에 종료된다. 다시 달의 밝은 부분이 보이기 시작해 오전 5시 56분 36초에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이번 월식은 아시아, 러시아, 호주, 인도양,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 시각인 3시 11분에 달의 고도가 약 31도로 남서쪽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개기식 시작인 2시 30분부터 3시 53분까지 약 83분 동안은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오는 8일 개기월식 달 위치도. 천문연 제공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2022년 11월 8일에 있었고, 다음은 2026년 3월 3일에 있을 예정이다.천문연 관계자는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 대기를 지난 태양빛이 굴절돼 달에 도달하는데,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산란이 일어나 푸른빛은 흩어지고, 붉은 빛은 달에 많이 도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달의 붉은색은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이를 통해 지구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이와 관련 국립과천과학관은 오는 7일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3년 만에 찾아오는 개기월식을 맏ㅈ아 특별 관측회를 연다. 참가자들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붉게 변하는 달과 토성의 고리를 직접 관측할 수 있고, 천체투영관에서 ‘우유니 사막에서 촬영한 월식 영상’을 통해 개기월식의 원리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 사진 촬영 박영식 천문연 책임연구원천문연, 8일 오전 2시30분24초 시작3년 만에 예보..남서쪽 하늘서 관측 가능오는 8일에 있을 개기월식 진행도. 천문연 제공오는 8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이번에는 날씨가 맑으면 국내 모든 지역에서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한국천문연구원은 8일 오전 2시 30분 24초에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시작된다.이후 오전 3시 11분 48초에 최대가 된 뒤 3시 53분 12초에 종료된다. 다시 달의 밝은 부분이 보이기 시작해 오전 5시 56분 36초에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이번 월식은 아시아, 러시아, 호주, 인도양,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 시각인 3시 11분에 달의 고도가 약 31도로 남서쪽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개기식 시작인 2시 30분부터 3시 53분까지 약 83분 동안은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오는 8일 개기월식 달 위치도. 천문연 제공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2022년 11월 8일에 있었고, 다음은 2026년 3월 3일에 있을 예정이다.천문연 관계자는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 대기를 지난 태양빛이 굴절돼 달에 도달하는데,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산란이 일어나 푸른빛은 흩어지고, 붉은 빛은 달에 많이 도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달의 붉은색은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이를 통해 지구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이와 관련 국립과천과학관은 오는 7일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3년 만에 찾아오는 개기월식을 맏ㅈ아 특별 관측회를 연다. 참가자들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붉게 변하는 달과 토성의 고리를 직접 관측할 수 있고, 천체투영관에서 ‘우유니 사막에서 촬영한 월식 영상’을 통해 개기월식의 원리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 사진 촬영 박영식 천문연 책임연구원 김포 어린이치과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