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미국과 진통 끝에 체결한 광물 협정이 양측에 공정한 협정이라고 환영했습니다. 러시아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서방의 식민지를 자처했다는 등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러시아 정부는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런던 조수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광물 협정을 체결한 지 하루 만에 우크라이나 언론을 통해 전문이 공개됐습니다. 미국에 우크라이나의 광물 투자 우선권을 주는 대가로 미국이 양국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양국은 이 협정이 우크라이나 국내법보다 우선이라는 점도 명확히 했습니다. 구체적 안보 보장 방안은 담기지 않았지만, 대신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안보와 번영, 재건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볼로디미르 란다 / 우크라 경제전략센터 수석경제학자 : 검토돼온 초안 중에는 식민지 협정에 가까운 내용도 있었는데 다행히 우크라이나 측이 잘 협상해서 양측에 이익이 되는 균형 잡힌 경제 협정을 도출해 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국에 상당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평등한 협정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달 26일 트럼프 대통령과 가진 바티칸 회담의 첫 번째 결과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 우크라이나 대통령 : 이 협정에는 채무가 없으며, 우크라이나에 투자되고 여기서 수익을 창출할 재건 기금이 설립되는 것입니다.] 광물 협정에 대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미국이 러시아와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백악관도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들인 막대한 지원금을 돌려받는다는 게 핵심이라며 취임 100일을 맞은 트럼프 대통령의 큰 성과로 부각했습니다. [스티븐 밀러 /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 :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납세자들이 지출한 수백억 달러는 상환하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크렘린궁 등 러시아 정부는 이틀째 침묵을 지키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다만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등 러시아 당국자들은 우크라이나가 군사 지원의 대가를 갚는 셈이라며 서방의 식민지를 자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러시아는 협정 서명 직후 우크라이나 남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데일리 이민하 기자] 지역경제 활성화 수단으로서 관광·여행 산업의 잠재력, 단순 취미를 넘어 경제 활동의 하나로 다양한 여행 활용법을 살펴보는 특별한 기회가 마련된다.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올댓트래블’ 여행 박람회가 그 무대다. 사흘간 박람회장 콘퍼런스존(A·B홀)에서 ‘지방소멸대응’, ‘지역 관광’, ‘도시 회생’ 등 사회 현안은 물론 ‘수익화’, ‘런투어’ 등 다양한 여행 활용법을 주제로 한 7건의 워크숍과 포럼, 강연 프로그램이 숨 가쁘게 돌아간다. 올해 박람회 주제인 ‘여행의 모든 것, 로컬로 통하다’에 맞춰 전문성, 대중성을 고려한 프로그램들이다. 2025 올댓트래블 부대행사의 포문은 8일 오전 11시 콘퍼런스 A홀에서 열리는 ‘호스피탈리티 밸류 업’이 연다. 숙박산업의 흐름과 성장 전략을 짚어보는 코너로 박진홍 호텔컨설팅연구소 대표의 국내 호텔산업 변천사를 정리하는 강연에 이어 황성원 트라플라 한국 대표가 디지털 전환 시대 호텔의 수익 모델 전략을 주제로 강연한다. 황보석 스테이네오 대표도 강연을 통해 여행 목적에 맞게 숙소를 고르는 방법을 전수한다. 작년 개최된 ‘2024 올댓트레블’ 컨퍼런스 현장 (사진=노진환 기자) 같은 시간 콘퍼런스 B홀에선 ‘지방소멸대응 지역관광 활성화 워크숍’이 열린다. 야놀자리서치 등이 주최하고 행정안전부가 후원하는 워크숍에선 단양과 강진, 순창, 해남에서 지방소멸위기를 지역관광으로 극복한 사례를 공유한다. 지자체 우수사례에 이어 일본의 지역관광 활성화 사례, 다양한 분야의 관광벤처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는 쇼케이스 등이 이어진다. 둘째 날인 9일 오전과 오후엔 트래블테크와 DMO(지역관광조직), 마이스(MICE) 등을 매개체로 한 지역관광 활성화의 실증사례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콘퍼런스 A홀에선 오전 11시부터 시작하는 ‘트래블테크 포럼’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트래블테크의 역할을 주제로 한국관광공사의 ‘배터리(BETTER里)’, 한식진흥원의 ‘K-미식벨트’ 사업을 실증사례로 소개한다. 강원 양양 서피비치 등 관광벤처 주도의 로컬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