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치과
━ 독립의 얼 잇는 사람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 후 시상대에 오른 손기정 선수. 일장기가 붙은 가슴까지 월계수 묘목을 당겨 안았다. [중앙포토] “아버지의 메달 국적은 아직도 일본이에요. 제가 살아있는 동안,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백발 어르신의 눈빛이 일순 일렁인다. ‘마라톤 영웅’ 손기정(1912~2002) 선수의 아들 손정인씨다. 올해 82살의 그를 지난 7일 일본 요코하마 자택에서 만났다. “원망도, 원한도 없어요. 그저 간절한 바람 하나만 있어요. 일본올림픽위원회(JOC)가 아버지 국적을 한국으로 돌려주는 겁니다. 저의 마지막 꿈입니다.” 손기정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2시간 29분 19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거머쥔 지 89년이 지났다. 하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기록상 그의 국적은 일본이다. 국적 반환 요구에 IOC는 2011년 홈페이지에 일본식 이름 손기테이(Son Kitei) 외에 한국인 손기정이란 설명을 추가했지만, 공식 국적은 여전히 일본으로 돼 있다. 금메달을 따고도 가슴팍에 붙은 일장기가 서글퍼 월계수 묘목을 가슴까지 끌어당겨야 했던 ‘슬픈 영웅’의 이야기는 여전히 진행 중인 셈이다. “아버지는 국적 표기에 대해 공식적인 발언은 하지 않았어요. 지인들에게 ‘일본이 스스로 돌려주길 바랄 뿐’이라고만 했어요. 아버지는 일본 정부에서 포상을 받은 적이 한 번도 없어요. 조센진(조선인)이었거든요.” 손씨는 유리함에서 조심스레 묵직한 청동 투구를 꺼내 보였다. 그리스의 한 신문사가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에게 주려 했던 고대 투구의 모형(레플리카)이다. 원본은 우승 50년 뒤인 1986년에야 손기정에게 전달됐고, 1994년 국가에 기증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보물 제904호). “아버지가 모형 1000개를 만들었어요. 고마운 분들에게 드려야 한다고요.” 손씨가 보유한 투구는 58호로, 그의 집 현관, 태극기 곁에 놓여있다. 그는 연신 손수건으로 유리함을 닦았다. 손기정 선수의 아들 손정인씨(왼쪽)와 그의 평전을 쓴 데라시마 메이지대 명예교수. 김현예 특파원 19[KBS 부산]박형준 부산시장은 오늘(14일)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만나 내년도 부산 현안 사업에 대해 국비 지원을 요청했습니다.요청한 주요 사업은 가덕도신공항 건설 15조 6천580억 원, 해수 담수화 실증시설 385억 원 등입니다.또 부산형 광역급행철도, 도시철도 정관선 건설에 대한 국비 지원과 예비타당성 조사 등 행정 절차의 조속한 통과를 요청했습니다.강성원 기자 (kangsw@kbs.co.kr)
동두천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