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1tra
출처=1trash1follow, 유지희 기자 18일 오전, 서울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역 일대. 출근길 인파가 몰리는 시간, 거리 곳곳은 무수히 버려진 담배꽁초로 뒤덮여 있었다.담배꽁초는 인도뿐 아니라 도로 한복판에도 버려져 있었다. 담뱃갑이 굴러다니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목격됐다.가로수 주변에도 꽁초가 수북했으며, 기자가 현장을 지나는 동안에도 흡연자들이 별다른 거리낌 없이 담배를 피운 뒤 꽁초를 길바닥에 툭 던지고 가는 모습이 여럿 포착됐다.배수로 안을 들여다보자 흡사 하얀 비닐 조각처럼 보이는 것들이 가득했지만, 그것은 모두 젖고 불은 담배꽁초였다. 출처=1trash1follow 실제 이 지역은 지난달 26일, 청소 인플루언서 '1trash1follow'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 일대를 청소하는 영상을 올리며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그는 동료 인플루언서 10여 명과 함께 골목을 돌며 배수로 덮개를 들어 올리고, 그 아래 수북이 쌓인 꽁초를 손수 수거했다. 영상 속 배수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정도로 꽁초와 쓰레기로 가득했고, 오래된 악취에 숨쉬기조차 어려워 보였다.이 영상은 게시 직후 4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댓글 창에는 "담배 한 갑 10만 원으로 올리자. 청소는 왜 남이 해야 하나", "흡연구역, 재떨이, 단속. 이 세 개를 동시에 갖추는 게 왜 이렇게 어렵냐", "진짜 한국 맞냐. 다 같이 사는 사회인데 시민 의식이 이 정도라니" 등 분노와 체념이 뒤섞인 반응이 이어졌다.그러나 청소 후 불과 몇 주 만에 배수로에는 다시 꽁초가 쌓이기 시작했고, 풍경은 제자리로 돌아왔다.◇"꽁초 투기 개념 없어" vs" 버릴 데가 없다" 구로구 일대 담배꽁초 사진=유지희 기자 이곳의 거리 환경만 나쁜 것이 아니다. 시민들의 인식도 피로감에 젖어 있었다. 직장인 김예지(25) 씨는 "출근길마다 이 길을 지나는데 바닥에 꽁초가 널려 있어 진짜 더럽다고 느낀다"며 "볼 때마다 짜증이 나고 눈살이 찌푸려진다"고 말했다.이곳에서 10년째 근무 중인 관리소장 김모(70) 씨는 "담배꽁초를 버릴 수 있는 수거함이 바로 앞에 있는데도 다들 바닥에 그냥 버리고 간다"며"안내문을 붙여놔도 소용없다. 밤사이 쌓인 꽁초 때문에 아침마다 쓰레기통이 꽉 찬다. 하루에 2024년 말 현재 인천에 개 23만74마리, 고양이 2천275마리 등 모두 23만2천349마리의 동물이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18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24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에는 2023년보다 6.1% 증가한 23만2천349마리의 동물이 등록 완료됐다.동물 등록이 의무화된 개가 99%를 차지했고, 소유자가 희망할 경우 등록이 가능한 고양이가 1%였다.인천에 누적 등록된 동물은 내장형(마이크로칩)이 48.6%(11만3천4마리), 외장형이 51.4%(11만9천345마리)로 외장형이 다소 많아 전국 평균 내장형 50.8%, 외장형 49.2%와 차이가 났다.목걸이 등의 형태로 된 외장형의 경우 잃어버렸을 때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 내다 버려도 원주인을 찾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인천지역 동물등록 대행기관은 228개소로 동물병원 213개소, 동물보호센터 8개소, 동물판매업자 7개소로 파악됐다.경기도는 동물 103만393마리가 등록돼 전국의 30%를 점유했다. 서울은 59만4천589마리로 전국의 17%였고, 인천에는 7%가 살고 있었다. 부산은 6%대인 21만5천839마리, 대구는 4%인 14만6천860마리가 등록돼 인천보다 반려인구가 적었다.2024년 인천의 길고양이 중성화(포획→중성화→방사)는 5천470마리로 한 마리당 약 19만6천 원의 비용이 든 것으로 나타났다.길고양이는 개체 수 조절을 위해 거세, 불임 시술 등으로 생식 능력을 제거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2024년 인천지역에서 구조된 동물은 5천601마리로 전국의 5.2% 수준이었다. 동물별로는 개 3천74마리(전체 55%), 고양이 2천410마리(43%), 기타 117마리(2%)로 조사됐다.보호관리 조치는 입양·기증 1천963마리(35%), 자연사 1천682마리(30%), 반환 793마리(14.2%), 인도적 처리(안락사) 622마리(11.1%)로 집계됐다.전국 평균은 반환 11.4%, 기증 및 입양 23.6%여서 인천이 반환과 입양·기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연사 전국 평균이 27.5%인 것을 감안하면 인천의 자연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또 인도적 처리는 전국 평균 비율(18.5%)에 견줘 적었다.인천의 유기동물을
출처=1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