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이파크시티
나이지리아 해상 유전 전경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현대 문명에 기여한 석유를 생각할 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국가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한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약 70%가 중동산이며 중동은 세계적으로 정세가 불안한 지역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한다.석유는 아프리카에서도 중요하다.석유 생산국은 나이지리아, 앙골라, 알제리,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콩고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남수단, 수단,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등 10개가 넘는다.에너지 기구 아프리카에너지위원회(AFREC)의 2021년 통계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하루에 생산되는 원유는 약 700만 배럴로 전 세계 원유 생산량의 9%가량을 차지한다.아프리카의 3대 산유국은 나이지리아, 앙골라, 알제리다.국제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를 보면 아프리카 서부 나이지리아의 연간 원유 생산량은 19억3천854만 배럴로 세계 15위다.앙골라(17억9천674만 배럴)와 알제리(16억9천878만 배럴)는 각각 16위, 17위를 기록했다.그런데 석유가 아프리카 국가들에 번영을 가져왔는지를 두고는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다.오히려 석유가 건전한 경제 발전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해석된다는 점에서 '자원의 저주(Resource Curse)'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중동 국가들이 이른바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높은 국민소득을 유지하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지도 [제작 양진규] 아프리카 서부 나이지리아는 2억명이 넘는 인구를 바탕으로 경제 잠재력이 크지만, 국민 상당수가 가난에 시달리고 있다.국민의 절반 정도는 하루 생활비가 국제 빈곤선인 2.15달러(약 3천원)에 미치지 못한다.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면서도 왜 국민은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할까.나이지리아는 1970년 석유 파동에 따른 유가 인상, 석유 수출 증가로 많은 수익을 올렸지만 1980년대에는 유가 하락 등에 따른 경제 불황을 오래 겪었다.나이지리아 수출품에서 석유 비중은 약 90%나 된다.국제 유가의 변동에 따라 경제 구조가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2010년대 중반 “환경부·기상청 공무원 중 전기차를 타는 비율이 국민 평균 정도에 불과하다. 환경부가 기후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라면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기차 보급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 보급률은 2023년부터 수요가 둔화되고 전기차 화재 등이 겹치면서 증가세가 주춤했다.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정부는 한 해 20만 대 넘게 전기차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지난해 등록 대수는 목표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 때문에 전기차 보조금이 감축됐고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할 때는 수천억 원의 예산이 깎여 나가기도 했다. 그나마 올 2분기(4∼6월) 들어 전기차 수요가 회복되고 환경부가 보조금 확대를 검토하면서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 예산 집행 저조로 보조금 예산도 줄어 전기 승용차를 살 때 지원하는 국고 보조금은 2021∼2023년 증가하다가 지난해부터 감소 추세다. 2023년 1조9180억 원이었던 전기차 보조금 예산은 지난해 1조7340억 원으로, 올해는 다시 1조5057억 원으로 줄었다. 여기에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과정에서 더 감액돼 최종적으로 반영된 예산은 1조2420억 원이다. 이에 따라 보조금 혜택은 중대형 승용차 기준 올해 580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70만 원 줄었고, 소형 이하는 530만 원으로 20만 원 감소했다. 전기차 보조금 예산이 줄어드는 것은 전기차 보급이 정부 예상보다 더디게 이뤄지면서 예산이 다 쓰이지 못하고 남는 일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1년 1120억 원 규모였던 무공해차 보급사업 예산불용액은 2023년 6563억 원, 2024년 7982억 원으로 점차 늘었다.2023년부터 시작된 전기차 ‘캐즘’(신기술 등이 초기 수요자에서 주류 수요자로 이동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요 단절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수요가 꺾였다. 또 지난해 8월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가 발생하면서 수요가 둔화됐다. 지난해 정부의 전기승용차 보급 목표는 23만3000대였으나 실제 새로 등록된 전기차는 12만2675대에 불과했다. 올해 목표는 26만 대인데, 상반기까지 등록 대수가 8만310대에 그쳤다.● “전기차 점유율 30%까지 보조
천안아이파크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