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국내 식품 매출 5% 감소…일본·유럽 매출

sans339

4

25-08-12 09:49

동두천치과 국내 식품 매출 5% 감소…일본·유럽 매출 크게 늘며 해외는 성장바이오사업, 라이신과 농축대두단백 등 판매 확대CJ제일제당[CJ제일제당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천35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1.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이다. 2분기 매출은 4조3천22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매출은 7조2천372억원으로 15억원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3천531억원으로 7.9% 감소했다. 순이익은 2천91억원으로 41.5% 늘었다. 식품사업부문은 매출이 2조6천873억원으로 1%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34% 줄어든 901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사업은 내수 소비 부진에 따른 오프라인 채널 침체가 계속되며 매출이 1조3천185억원으로 5% 감소했다. 다만 온라인 가공식품 매출은 24% 성장했다. 해외 식품 매출은 1조3천688억원으로 3% 증가했다. 비비고의 인지도가 더 높아지고 미국,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 대형 유통 채널 입점이 확대된 결과다. 해외 매출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북미에서는 냉동밥(+19%), 치킨(+12%), 롤(+18%), 피자(+6%) 등의 견조한 성장을 토대로 1조1천1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K푸드 신영토 확장의 주요 지역인 일본은 과일 발효초 '미초'와 만두의 판매가 크게 늘면서 37%의 매출 성장을 이뤘다. 특히 이온, 코스트코, 아마존, 라쿠텐에 이어 최근에는 대형 플랫폼 돈키호테의 전국 매장에 비비고 브랜드 전용매대를 확보했으며 치바현에 신규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등 현지 사업 대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 지역의 성장도 순조롭다. 지난 1분기 프랑스 르클레흐, 카르푸에 이어 영국 대형 유통 채널인 모리슨에 비비고 제품을 입점시키며 매출이 25% 증가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1조798억원, 영업이익 1천24억원으로 각각 2%와 8% 증가했다. 지난해 트립토판, 스페셜티 아미노산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높은 기저 부담에도, 라이신 판가 상승과 농축대두단백(SPC) 판매 확대 등으국내 식품 매출 5% 감소…일본·유럽 매출 크게 늘며 해외는 성장바이오사업, 라이신과 농축대두단백 등 판매 확대CJ제일제당[CJ제일제당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천35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1.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이다. 2분기 매출은 4조3천22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매출은 7조2천372억원으로 15억원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3천531억원으로 7.9% 감소했다. 순이익은 2천91억원으로 41.5% 늘었다. 식품사업부문은 매출이 2조6천873억원으로 1%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34% 줄어든 901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사업은 내수 소비 부진에 따른 오프라인 채널 침체가 계속되며 매출이 1조3천185억원으로 5% 감소했다. 다만 온라인 가공식품 매출은 24% 성장했다. 해외 식품 매출은 1조3천688억원으로 3% 증가했다. 비비고의 인지도가 더 높아지고 미국,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 대형 유통 채널 입점이 확대된 결과다. 해외 매출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북미에서는 냉동밥(+19%), 치킨(+12%), 롤(+18%), 피자(+6%) 등의 견조한 성장을 토대로 1조1천1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K푸드 신영토 확장의 주요 지역인 일본은 과일 발효초 '미초'와 만두의 판매가 크게 늘면서 37%의 매출 성장을 이뤘다. 특히 이온, 코스트코, 아마존, 라쿠텐에 이어 최근에는 대형 플랫폼 돈키호테의 전국 매장에 비비고 브랜드 전용매대를 확보했으며 치바현에 신규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등 현지 사업 대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 지역의 성장도 순조롭다. 지난 1분기 프랑스 르클레흐, 카르푸에 이어 영국 대형 유통 채널인 모리슨에 비비고 제품을 입점시키며 매출이 25% 증가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1조798억원, 영업이익 1천24억원으로 각각 2%와 8% 증가했다. 지난해 트립토판, 스페셜티 아미노산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높은 기저 부담에도, 라이신 판가 상승과 농축대두단백(SPC) 판매 확대 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특히 스페셜티 제품 중 하나인 사료용 히스티딘은 연어 사료 시장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맞춘 생산 및 글로벌 점유율 확대로 88%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동두천치과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