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석(앞줄 왼쪽 다섯 번째
정형석(앞줄 왼쪽 다섯 번째) 밀알복지재단 상임대표와 장순흥(앞줄 왼쪽 네 번째) 부산외국어대 총장이 지난 13일 ‘산학 업무협력 협약(MOU)’을 체결하고 관계자들과 함께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밀알복지재단(정형석 상임대표)과 부산외국어대학교(장순흥 총장)가 장애인의 사회적 자립과 고용 증진을 위해 손을 잡았다.양 기관은 13일 부산외국어대 본관 국제회의실에서 ‘산학 업무협력 협약(MOU)’을 체결하고 상호 밀접한 교류와 협력을 통해 동반성장을 하기로 약속했다. 협약식에는 정형석 상임대표, 장순흥 총장을 비롯한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은 대학과 복지재단이 가진 강점을 결합해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상호 연계체제 확립, 산업체 현장실습 및 견학 협조, 대학의 인적·물리적 지원, 기타 필요 분야의 교류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특히 밀알복지재단은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부산외국어대 캠퍼스 내에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굿윌스토어’ 설립을 구체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밀알복지재단과 부산외국어대가 지난 13일 부산외국어대 본관 국제회의실에서 ‘산학 업무협력 협약(MOU)’을 체결했다. 장순흥(왼쪽) 총장과 정형석 상임대표가 협약서에 서명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형석 밀알복지재단 상임대표는 “한동대의 장애인 고용 카페 사례처럼 대학 내에 장애인을 위한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싶다”며 “특히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부산외대의 특성을 살려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제공하고 아르바이트 기회도 창출하는 굿윌스토어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선 팝업스토어나 바자회를 통해 가능성을 검토한 뒤 상설 매장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장순흥 부산외국어대 총장은 “장애인 지원 사업은 매우 중요하지만 어려운 일이기에 굿윌스토어라는 검증된 모델을 통해 협력하게 돼 기대가 크다”면서 “이번 협력이 단순히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우리 사회의 장애 경찰 넥쏘 순찰차 [경찰청 공식 블로그 캡처] 경찰이 이달 초 배치한 신형 순찰차가 경광등 같은 기본 장비가 작동하지 않는 '깡통 순찰차'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이 문제로 최소 수십대의 신형 순찰차 투입이 지연되면서 치안 현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연합뉴스 취재와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경북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에 배치된 신형 그랜저 순찰차 13대는 열흘 넘게 차고지에 세워져 있다. 무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데다 경광등에서 등의 기능을 제어하는 태블릿PC가 설치되지 않아 임무 수행이 불가능한 상태인 걸 뒤늦게 확인했기 때문이다. 전남경찰청 역시 그랜저와 넥쏘 순찰차 6대를 보급받았지만 역시 태블릿PC가 없어 운행을 못 하고 있다. 넥쏘 순찰차 2대를 받은 대구경찰청 역시 경광등과 블랙박스가 태블릿과 제대로 연동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일부 순찰차는 경광등 사양이 표준과 맞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 변경 승인을 받지 않은 전광판이 달려 있지만 검수에서는 합격했다고 한다. 이달 초 전국에 배치된 신형 넥쏘·그랜저 고속순찰차 125대 중 14일까지 파악된 21대 전부에서 크고 작은 문제가 나타났다. 경찰청은 지난해 노후 순찰차 959대를 교체하기 위해 491억원을 집행했다. 일반 차량을 특장 업체에 맡겨 외관을 랩핑하고 전용 장비를 장착해 납품받는 방식이다. 하지만 343대는 납기일을 수개월 넘겨 납품조차 되지 않았고, 그나마 이번에 지각 납품된 차마저 미완성 상태로 배치됐다는 지적이다. 한 일선 경찰관은 "장비 문제로 실무자들이 매번 교체되고, 현장에서는 답답함만 쌓인다"고 했다.신정훈 의원은 "경찰청이 검사도 합격하지 못한 미완성 차를 일방적으로 현장에 내보내는 것은 심각한 위법"이라며 "경찰청 예산 편성과 장비 운용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김성준기자 illust76@dt.co.kr
정형석(앞줄 왼쪽 다섯 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