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블룸버그, 대미 수출 60% 감소·GD

sans339

4

25-08-07 17:52

홈페이지상위노출 블룸버그, 대미 수출 60% 감소·GDP 1%↓ 예측[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에 대한 관세를 50%로 끌어올리면서 인도 경제 성장률이 최대 1%포인트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AFP)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7일(현지시간) 미국이 인도산 상품에 총 50% 관세를 부과하면 인도의 대미 수출이 최대 60%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시장으로 지난해 약 870억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전체 수출 물량의 약 5분의 1 규모로, 주요 수출 품목은 보석·섬유·신발 등이다. 분석가들은 또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1% 줄어들 수 있다며 “중기적으로는 전반적인 타격이 1.1%까지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인도 중앙은행은 2026회계연도 경제 성장률을 6.5%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작년과 동일하지만 이전 평균 성장률인 8%보다는 훨씬 낮은 수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문제삼으면서 상호관세를 25%로 책정했다. 무역협상에 나섰음에도 고율 관세가 부과되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계속하겠다며 반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괘씸죄’를 물어 3주 뒤인 27일부터 25% 관세를 추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노무라도 미국의 50% 관세 폭탄과 관련해 “사실상 무역금수 조치에 가깝다”며 “영향을 받는 품목들의 갑작스러운 수출 중단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여러 산업 분야에서 낮은 부가가치와 낮은 마진으로 소규모 기업들이 경쟁하기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쓰비시UFJ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수출 적자·경상수지 악화, 환율 변동성 심화로 정책당국의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씨티그룹은 연간 성장률이 0.6~0.8%포인트 하락할 위험이 있다고 추산했다. 모건스탠리는 인도 중앙은행이 0.25%포인트씩 두 차례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인도 정부는 미국의 조치에 대해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다른 국가들은 제재 대상이 아닌데 유독 인도만 타깃으로 삼았다. 명백히 불공정하며 근거도 없다”고 비난하며, 대미 수출이 어려워질 경우 “남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 신흥시장 다변화로 돌파구를 찾겠다”고 강조했다.블룸버그, 대미 수출 60% 감소·GDP 1%↓ 예측[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에 대한 관세를 50%로 끌어올리면서 인도 경제 성장률이 최대 1%포인트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AFP)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7일(현지시간) 미국이 인도산 상품에 총 50% 관세를 부과하면 인도의 대미 수출이 최대 60%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시장으로 지난해 약 870억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전체 수출 물량의 약 5분의 1 규모로, 주요 수출 품목은 보석·섬유·신발 등이다. 분석가들은 또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1% 줄어들 수 있다며 “중기적으로는 전반적인 타격이 1.1%까지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인도 중앙은행은 2026회계연도 경제 성장률을 6.5%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작년과 동일하지만 이전 평균 성장률인 8%보다는 훨씬 낮은 수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문제삼으면서 상호관세를 25%로 책정했다. 무역협상에 나섰음에도 고율 관세가 부과되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계속하겠다며 반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괘씸죄’를 물어 3주 뒤인 27일부터 25% 관세를 추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노무라도 미국의 50% 관세 폭탄과 관련해 “사실상 무역금수 조치에 가깝다”며 “영향을 받는 품목들의 갑작스러운 수출 중단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여러 산업 분야에서 낮은 부가가치와 낮은 마진으로 소규모 기업들이 경쟁하기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쓰비시UFJ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수출 적자·경상수지 악화, 환율 변동성 심화로 정책당국의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씨티그룹은 연간 성장률이 0.6~0.8%포인트 하락할 위험이 있다고 추산했다. 모건스탠리는 인도 중앙은행이 0.25%포인트씩 두 차례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인도 정부는 미국의 조치에 대해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다른 국가들은 제재 대상이 아닌데 유독 인도만 타깃으로 삼았다. 명백히 불공정하며 근거도 없다”고 비난 홈페이지상위노출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