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미국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WWDC 2025에서 팀 쿡 애플 CEO가 인사를 하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이 아이폰·아이패드·비전프로 등 자사 기기에 새로운 반투명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를 도입하며 운영체제(OS)의 대대적인 개편을 알렸다. 애플이 자사 OS의 구성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 한 것은 2013년 iOS7 업데이트 후 12년 만이다.애플은 9일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연례 개발자 행사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5’를 개최하고 “사상 처음으로 애플의 모든 제품에 동일한 UI가 적용되게 된다”며 리퀴드 글래스를 공개했다. 리퀴드 글래스는 유리 같은 디자인으로, 알림창·앱 아이콘·검색창의 경계를 반투명으로 흐리게 하며 뒷배경이 보이게 하는게 핵심이다. 뒷배경과 아이콘의 경계가 명확해 2차원적으로 느껴지는 화면에 입체적인 ‘심도’를 추가했다는 것이다. 9일 미국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WWDC 2025에서 '리퀴드 글래스'가 적용된 애플 기기 화면이 공개된 모습./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은 올해 WWDC에서 인공지능(AI)이 아닌 OS디자인을 발표의 중심으로 내세웠다. 지난해 WWDC에서 ‘애플 인텔리전스’를 대대적으로 공개했던 것과 대비되며, 애플이 AI 기술 측면에서 경쟁사에 비해 기능 출시가 계속해서 늦어지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하지만 애플이 느닷없이 ‘반투명 디자인’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아니다. 애플은 지난해 가상현실(VR) 헤드셋 ‘비전프로’를 선보인 후, 빠르면 내년에 자체 AI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안경을 쓰고 일상 생활을 하며 다양한 앱을 시야 방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엔 이 같은 ‘반투명 디자인’이 핵심이다. 이날 애플은 따로 차기 스마트 안경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론 이 같은 반투명 디자인이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초석이라는 반응이 나왔다.◇디자인 중심 발표…주가 하락 9일 미국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WWDC 2025에서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부사장이 신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9일 오전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전경.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다. 조향래기자 “손 보면 문화재 탐방이나 역사 교육에 좋을텐데 왜 방치하며 역사를 잊어가는지 이해하기 힘들어요.” 9일 오전 11시께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조선시대에 서양식 화포 ‘불랑기포’를 배치했다는 기록과 고증을 거친 국내 유일의 돈대다. 하지만 역사적 가치에 비해 건평돈대는 입구부터 초라하기 그지없었다.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해안 쪽 석벽은 비교적 양호하게 복원했지만 입구는 형체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처참한 모습이었다. 입구 안팎의 석축 또한 여기 저기 무너져 내린 채 석재들이 어지러이 널브러져 있었다. 이곳에서 만난 최모씨(56)는 “오랜만에 고향을 찾았는데 예나 지금이나 초라한 돈대 모습은 여전하다”라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데 하루 빨리 복원해 우리의 뿌리를 바로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강화 건평돈대의 성벽과 포좌가 허물어진 채 오랜 기간 방치,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강화군 등에 따르면 지난 2017년 4월 인천시립박물관의 발굴조사를 통해 건평돈대에서 온전한 모습의 불랑기포가 발견됐다. 불랑기포는 16세기 유럽에서 들어온 서양식 화포다. 지금껏 남아있는 불랑기포는 모두 12문으로, 서울시 신청사 부지에서 출토된 불랑기포 1점 외에는 발굴된 장소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건평돈대는 돈대에 불랑기포를 배치했다는 조선시대 기록을 실증한 유일한 사례다. 불랑기포는 포신에 명문이 남아 조선시대 무기사와 국방체계 연구에도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9일 오전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전경.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다. 조향래기자 이에 전문가들은 건평돈대를 복원, 문화재를 보전하고 역사 교육에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천지역 한 문화재 관계자는 “건평돈대 불랑기포는 실천 배치 장소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병장기 역사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며 “허물어진 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