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 30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photo 뉴시스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사전투표에 참여한 한 30대 직장인 박모씨는 "(사전투표에서) 투표지 반출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고 나서야 통제를 강화한 느낌"이라며 "항상 사후대처만 할 뿐 사전에 관리를 잘 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60대 이모씨는 "주변 지인들이 '부정선거가 있다'는 말들을 해서 헛소리라고만 생각했는데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선관위 차원 단순 실수인지 진짜 부정선거인 것인지 헷갈릴 지경"이라고 했다.제21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각종 혼선과 관리 부실 사례가 드러나며 선거관리위원회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참전'으로 힘이 실린 부정선거론자들이 이번 대선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여러 행위들이 예고됐음에도 또다시 선관위는 선거 과정에서 사전투표 통계 오류, 투표용지 반출, 명부 착오 부실 등이 드러나며 논란의 단초를 제공했다.지난 6월 3일 제21대 대선 본투표가 치러진 전국의 투표소에서는 총 886건의 선거 관련 경찰 신고가 접수됐다. 투표 방해나 소란으로 분류된 건수만 233건에 달했다. 특히 보수 성향 단체들이 각 투표소 앞에서 부정선거 감시를 자처하며 직접 감시 활동을 벌였고, 일부는 투표소 내부에서 고성을 지르거나 출입제한구역에 무단 진입해 퇴장당하기도 했다.지난 수년간 반복돼 온 부정선거 주장은 이번 대선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부정선거를 주장하고 있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대선 직후 "사전투표 부정의 증거가 다수 존재한다"고 주장했고, 민경욱 전 국민의힘 의원과 박주현 변호사 등은 자신들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각종 부정선거 증거 자료를 게재했다. 황 전 총리는 "투표용지가 접혀 있지 않다"거나 "사전투표 관외투표자 수가 해당 지역 인구에 비해 과도하게 많다"며 의혹을 제기했다.연이은 관리 부실, 선관위 "죄송하다"문제는 이 같은 행동들이 사전에 예고됐음에도 선관위의 관리체계가 허점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서울 강북구, 경기 양주시, 제주시 등지에서는 사전투표를 마친 유권자들이 다시 투표를 시도하거나 명부상 본인의 기록을 찾지 못해 소란을 벌이는 일이 잇따랐다. 제주에서는 사전투표자 3명이 본투표에 재차 참여하려다 적발돼 경찰에 고발되기도 했다. 또 일부 유권자들은 기표소 내부를 촬영하려다 제지당하기도 했다. 투표지 외부 반출 논란도 불거졌다.지난 5월 29일 서울 서대문구에서는 투표용지를 받은 유권자가 식사를 이유로 밖으로 나갔다가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 30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photo 뉴시스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사전투표에 참여한 한 30대 직장인 박모씨는 "(사전투표에서) 투표지 반출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고 나서야 통제를 강화한 느낌"이라며 "항상 사후대처만 할 뿐 사전에 관리를 잘 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60대 이모씨는 "주변 지인들이 '부정선거가 있다'는 말들을 해서 헛소리라고만 생각했는데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선관위 차원 단순 실수인지 진짜 부정선거인 것인지 헷갈릴 지경"이라고 했다.제21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각종 혼선과 관리 부실 사례가 드러나며 선거관리위원회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참전'으로 힘이 실린 부정선거론자들이 이번 대선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여러 행위들이 예고됐음에도 또다시 선관위는 선거 과정에서 사전투표 통계 오류, 투표용지 반출, 명부 착오 부실 등이 드러나며 논란의 단초를 제공했다.지난 6월 3일 제21대 대선 본투표가 치러진 전국의 투표소에서는 총 886건의 선거 관련 경찰 신고가 접수됐다. 투표 방해나 소란으로 분류된 건수만 233건에 달했다. 특히 보수 성향 단체들이 각 투표소 앞에서 부정선거 감시를 자처하며 직접 감시 활동을 벌였고, 일부는 투표소 내부에서 고성을 지르거나 출입제한구역에 무단 진입해 퇴장당하기도 했다.지난 수년간 반복돼 온 부정선거 주장은 이번 대선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부정선거를 주장하고 있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대선 직후 "사전투표 부정의 증거가 다수 존재한다"고 주장했고, 민경욱 전 국민의힘 의원과 박주현 변호사 등은 자신들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각종 부정선거 증거 자료를 게재했다. 황 전 총리는 "투표용지가 접혀 있지 않다"거나 "사전투표 관외투표자 수가 해당 지역 인구에 비해 과도하게 많다"며 의혹을 제기했다.연이은 관리 부실, 선관위 "죄송하다"문제는 이 같은 행동들이 사전에 예고됐음에도 선관위의 관리체계가 허점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서울 강북구, 경기 양주시, 제주시 등지에서는 사전투표를 마친 유권자들이 다시 투표를 시도하거나 명부상 본인의 기록을 찾지 못해 소란을 벌이는 일이 잇따랐다. 제주에서는 사전투표자 3명이 본투표에 재차 참여하려다 적발돼 경찰에 고발되기도 했다. 또 일부 유권자들은 기표소 내부를 촬영하려다 제지당하기도 했다. 투표지 외부 반출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