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연극 ‘유령’에서 폭력 남편 오

oreo

2

25-06-06 06:59

연극 ‘유령’에서 폭력 남편 오 씨(강신기·왼쪽)가 아내 배명순(이지하·가운데)을 때리는 시늉을 하는 가운데, 분장사(전유경)가 멍이 든 것처럼 분장을 해주는 장면. 세종문화회관 제공 가정폭력을 피해 자식도 두고 집을 떠난 배명순. 남편의 추적을 피하려 가명 정순임으로 사는 그를 고용한 박 사장은, 그의 불안한 신분을 악용해 월급을 마음대로 깎으려고 한다. ‘내 속을 알면서 왜 그러시냐?’는 배명순의 호소에 박 사장은 능글맞게 쏘아붙인다. “내가 당신 속을 어떻게 알아? 누가 들으면 내가 건드린 줄 알겠네….”배명순 앞에 펼쳐진 비정한 세상에 관객의 마음이 무거워지려는 찰나, 무대 위에 있던 분장사가 어이없는 대사를 외친다.“더러운 새끼. 역할을 맡아도 꼭 더러운 거만….”그러자 갑자기 박 사장을 연기하던 배우도 역할에서 빠져나온다. “나도 이 대사 빼자고 연출한테 몇 번을 말했다. 이래서 우리집 애들이 연극을 보러 오겠냐”며. 객석에선 웃음이 터져 나온다.지난달 30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개막한 ‘유령’은 어디까지가 연극인지 헷갈리는 작품이다. 무대 안과 밖의 ‘이중 서사’가 동시에 전개되기 때문이다. 서울시극단 예술감독인 고선웅 연출이 14년 만에 발표한 창작극이다.고 연출은 ‘무연고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신문 기사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무연고자는 법적 연고자가 없거나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거부해 장례를 치르지 못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너무 아픈 이야기라서 무거운 서사만 떠올랐다”는 고 연출은 떠돌이로 살다 숨진 뒤 시신 안치실에서 ‘유령’이 된 배명순의 서사와 무대 위에서 배역 없이 떠돌아다니는 배우 ‘유령’들의 서사를 겹쳐 보기로 했다.이러다 보니 독특한 상황은 무대에서 계속해서 이어진다. 배명순이 남편에게 맞는 장면을 보면, 분장사가 무대에 함께 등장해 멍 분장을 해준다. 분장사를 맡았던 배우는 경찰 역할이 돼 남편 오 씨를 비난하기도 한다. 이런 이중 서사는 당연히 관객의 몰입을 방해할 터. 그런데 이런 산만함이 역설적으로 슬픔은 덜고 유쾌함은 더한다. 독특한 방식으로 연극을 편하게 감상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셈이다.다만 그만큼 배명순이란 무연고자 유령의 서사는 다소 압축적으 지난 5월 9일 열린 더불어민주당 ‘K문화강국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유홍준 위원장과 김민석 국회의원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최수문기자 [서울경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잇따라 ‘문화 산업’과 ‘문화 강국’을 강조하면서 문화계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 문화 산업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삼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문화 산업이 국정의 핵심으로 부상한 것은 문화 융성을 기치로 내걸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10여 년 만이다.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정부의 문화 공약 핵심은 ‘세계 문명을 선도하는 소프트파워 5대(빅5) 문화 강국 실현’이다. 이를 위해 K컬처 시장 300조 원 시대를 목표로 K팝, 드라마, 웹툰, 게임, 푸드, 뷰티 등의 세계 진출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주요 수단은 K컬처의 확장성과 경쟁력 확보다. 우선 음악, 드라마, 웹툰, 게임 등 기존 문화 콘텐츠와 함께 추가로 푸드, 뷰티 등 주요 한류도 문화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이 대통령은 4일 취임사에서 “문화가 곧 경제고, 문화가 국제 경쟁력이다. 한국 문화의 국제적 열풍을 문화 산업 발전과 좋은 일자리로 연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이들이 최대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을 늘려나간다는 취지다. 문화 재정을 대폭 확대하면서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도 늘려나가기로 했다. 콘텐츠 실리콘밸리와 5만석 규모 복합 아레나형 공연장 조성 등 인프라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공약은 ‘K컬처 시장 300조 원 시대’라는 목표 수치를 제시했는데 문화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23년 154조 원으로 매년 5~6% 성장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2030년께 300조 원까지 확대되기 위해서는 기존 콘텐츠에 더해 플러스알파가 필요한 셈이다. 즉 푸드와 뷰티 등 인접 분야에서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것이다.이종현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회장은 “‘K’라는 글로벌 위상에 걸맞은 산업의 질적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문제는 문화 재정 확대 규모다. 문화 재정은 문화체육관광부·국가유산청 등 정부 내 문화 콘텐츠·예술·체육·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