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sans339

4

25-08-02 17:18

웹사이트상위노출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9일 "무더위가 지속되고 있는 요즘 수도 시민들이 누구나 즐겨찾는 곳이 있다"라며 거리 곳곳에 꾸려진 빙수매대가 북적이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멈출 줄 모르는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평양 시민들도 빙수에 열광하고 있다. 북한 매체들은 '인민을 위한 당의 사랑'으로 평양 거리 곳곳에 빙수매대가 설치됐다고 선전하고 있다.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달 29일 '누구나 즐겨 찾는 빙수매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무더위가 지속되는 요즘 수도 시민들이 빙수매대를 찾고 있다"라고 전했다.신문이 전한 사진에는 평양 주민들이 빙수매대에 둘러앉아 각자 '1인 1빙수'를 즐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신문은 "얼마 전 우리가 중구역에 위치한 어느한 빙수매대를 찾았을 때에도 많은 사람들이 흥성이고 있었다"며 손님들의 반응을 담았다. 손님들은 "난 팥빙수가 좋더구만. 한 그릇 주시오", "우린 여러 가지 과일을 넣어 만든 종합과일빙수를 주십시오"라고 말하며 제각기 입맛에 맞는 다양한 빙수를 주문했다고 한다.노인과 청년들은 "한술 입에 넣으면 금시 흐르던 땀이 뚝 멎을 것만 같은 빙수 그릇을 받아안고 웃음꽃을 피웠다"라고 신문은 묘사했다. 봉사자(직원)들은 "최근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우리 빙수매대를 찾는 사람들의 수가 더욱 늘어나고 있다"며 "인민을 위한 당의 사랑이 뜨겁게 깃들어 있다"라고 선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주민들이 한 상점에서 시원한 음료를 구매하고 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의 빙수는 김정일 [의령=뉴시스] 차용현 기자 = 호우경보가 내려진 지난달 19일 오후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점마을 신정교 인근 제방이 무너져 하천수가 범람하고 있다. 2025.07.19.con@newsis.com [서울=뉴시스]정예빈 기자 =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홍수가 대부분 지방하천에서 발생하면서 지방하천 제방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가 발간한 '기후위기 적응대책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홍수 피해가 발생한 하천 중 93.6%(연평균 669개소)는 지방하천이었다. 국가하천은 6.4%(연평균 46개소)에 불과했다. 매년 지방하천에 홍수 피해가 집중됨에도 제방 정비율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19년 48.07% 수준이었던 정비율은 2023년 48.78%에 머물며 개선이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2023년 말 기준 국가하천 73개소 평균 제방 정비율인 78.8%에 한참 못 미친다.하천은 하천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된다. 국가하천은 국토 보전이나 국민 경제에 중요한 하천으로, 환경부 장관이 관리한다.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 광역시장, 시장, 도지사 등이 관리하고 있다.예정처는 지방하천 정비율이 낮은 이유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예산 지원 감소와 지방하천 관련 사업이 지방정부로 이양된 것을 꼽았다. 국토교통부의 '지방하천정비 사업', 행정안전부의 '소하천정비 사업', 환경부의 '생태하천복원 사업'은 모두 2020년부터 국고보조사업에서 지자체 일반사업으로 전환됐다.예정처는 "2014년 이후 지자체 지원 보조율이 감소하고 여기에 더해 2020년 지방하천 관련 사업의 지방정부 이양으로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사업비를 편성하게 되면서 지방하천 정비 등의 투자에 소홀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고 분석했다.지방하천이 지방으로 이양된 이후 정부는 일정 기준에 따라 사업비 일부를 지자체에 보전해주고 있다. 다만 예정처는 "지자체의 지속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전환사업 운영기준을 개선하는 등 중앙·지방간 협력 방안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물 관리 부처인 환경부 관계자는 지방하천 제방 정비가 필요하다면서도 "(중앙정부로 지방하천 업무를 다시 이관하는 것은) 세입원 문제가 있어 (환경부) 웹사이트상위노출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