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올리브유는 오래전부터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졌다. 건강식으로 알려진 지중해식 식단의 필수 요소중 하나다. 하지만 올리브유를 과다 섭취하면 외려 비만을 유발하고 심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반전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올레산(oleic acid)이 풍부한 고지방 식단을 섭취하면 지방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비만 위험이 높아진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게재 됐다.올리브유에 풍부한 올레산이란?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 된 올레산은 단일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오메가-9으로도 부른다. 올리브유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지만 유채씨(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견과류, 육류, 치즈, 계란, 아보카도와 같은 다양한 식품에 들어 있다.“지방 세포는 군대에 비유할 수 있다. 올레산을 섭취하면 초기에는 ‘지방 세포 군인’의 수가 증가하여 (에너지로 쓰고 남은) 초과 영양분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커진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초과 영양분이 지방 세포의 수보다 많아지면 비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공동 교신 저자인 오클라호마 대학교 생화학·생리학과 교수인 마이클 루돌프 교수가 경고했다.오클라호마대, 예일대, 뉴욕대 공동 연구진은 단순히 고지방 식단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이 비만을 유발하는지, 아니면 식단에 포함된 지방산의 조성이 중요한지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이들은 올리브유와 함께 코코넛유, 땅콩유, 우유, 라드(돼지기름), 대두유(콩기름) 등 특정 지방산이 풍부한 식단을 쥐에게 먹였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연구 결과, 올레산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지방세포의 형성·성장·분화에 관여하는 AKT2 단백질의 활성이 증가하고, 이를 억제하는 LXR 단백질의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지방 세포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축적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허리둘레가 늘어나고 비만 위험이 높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쉽게 말해, 올레산은 지방세포를 만드는 ‘신호 체계’를 강화하고, 이를 억제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약화시켜 지방세포가 더 많이, 더 빠르게 만들어지도록 유도한다. 비만은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연구진은 “ 마다가스카르의 험준한 절벽을 줄지어 뛰어오르는 갈색여우원숭이들을 포착한 사진이 자연사진 공모전인 ‘빅픽처 2025’(Big Picture 2025)의 대상작에 선정됐다. 동린 저우/빅픽처 제공 마다가스카르의 험준한 절벽을 줄지어 뛰어오르는 갈색여우원숭이들을 포착한 사진이 자연사진 공모전인 ‘빅픽처 2025’(Big Picture 2025)의 대상작에 선정됐다. 새끼를 등에 업은 채 무리의 선두를 이끄는 어미의 모습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생생히 전한다.미국 캘리포니아과학아카데미는 15일(현지시각) 올해 12회를 맞는 ‘빅픽처 2025’의 대상작에 중국 작가 동린 저우(Donglin Zhou)의 ‘여우원숭이의 험난한 삶’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해마다 6월15일을 ‘자연 사진의 날’로 정하고 공모작 발표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공모전에는 60개 나라에서 8000개 이상의 작품이 제출돼 경쟁을 벌였다. 수생동물 부문 우수상에 오른 ‘문어 어머니’. 캣 저우/빅픽처 제공 육상 야생동물 부문 수상작 ‘무리 안에서’. 에밋 에셸/빅픽처 제공 보도자료를 보면, 놀랍도록 민첩한 여우원숭이들을 포착하기 위해 동린 저우 작가는 11월 마다가스카르 베마라하 칭기 국립공원으로 여행을 떠났다. 갈색여우원숭이 무리를 가까이서 촬영하기 위해 해가 뜨기 전 석회암 봉우리 꼭대기까지 올랐지만, 원숭이들은 좀처럼 가까이 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게 온종일 기다린 결과, 일몰이 시작될 무렵 작은 무리가 이동하기 시작했고 작가는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포착했다. ‘날개 달린 생명’ 부문 수상작 ‘둥지를 떠나며’. 드비르 바르카이/빅픽처 제공 ‘풍경, 물, 식물’ 부문 수상작 ‘제3의 눈’. 마르친 기바/빅픽처 제공 새끼를 등에 매달고 날아오르듯 절벽을 이동하는 어미 갈색여우원숭이의 모습은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수지 에스테하스 심사위원장은 “이 작품은 그야말로 순수한 마법과 같다”면서 “첨탑을 가로지르며 이동하는 여우원숭이들의 흐름은 시선을 유도하다가, 마침내 거대한 협곡 위 빛줄기 속에 공중을 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