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이재명 대통령 당선을 바라보는 미국 워싱턴 정가에 양가적 시선이 미묘하게 교차하고 있다. 전통적인 한ㆍ미동맹의 가치를 공유하는 의회 내 지한파 그룹에서는 즉각적인 환영과 협력을 기원하는 목소리가 이어지는 반면 ‘마가(MAGAㆍ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란 뜻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선거 슬로건)’로 대표되는 강경 보수 진영에선 이 대통령의 외교 노선에 의구심 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 관계 설정이 최우선 과제 중 하나인 이 대통령을 시험대 앞에 세우는 형국이다. 미 의회 내 지한파 의원들의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은 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진심으로 축하를 보낸다”며 “이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가 한반도와 그 너머 직면한 많은 도전과제를 잘 극복하고 미국의 핵심이자 필수적인 동맹인 한국을 잘 이끌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에는 공화당 소속 조 윌슨, 마이크 켈리 하원의원과 민주당 소속 아미 베라, 메릴린 스트리클런드 하원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 지한파 의원들 “축하…동맹 진전 기대” 지난해 9월 방한한 상원 내 민주당 중진 크리스 쿤스 의원은 소셜미디어 글을 통해 “이 대통령과 함께 우리의 위대한 한ㆍ미동맹을 향상시키고 일본과 한ㆍ미ㆍ일 3국 안보 협력을 더욱 발전시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ㆍ미관계 강화 결의안을 발의한 바 있는 톰 수오지 민주당 하원의원과 ‘미주 한인의 날’ 지정 결의안 공동 발의자로 참여한 지미 고메즈 민주당 하원의원도 각각 소셜미디어 X 글을 통해 “이 대통령의 성공을 기원하며 제가 발의한 초당적 한ㆍ미동맹 결의안을 통해 양국 파트너십을 계속 지지하겠다”, “이번 평화적 정권 이양은 한국 민주주의의 힘과 회복력을 보여주는 증거로 양국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기대한다”고 했다. 한인 유권자가 많은 뉴저지에 지역구를 둔 조시 고트하이머 하원의원도 소셜미디어에 이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어느 때보다 한ㆍ미관계가 강력히 유지되는 게 중요하다”는 글을 올렸다. 한국계 의원들도 잇따라 환영과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동아시아태평양소위 위원장인 영 김 공화당 의원은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이재명 대통령 당선을 바라보는 미국 워싱턴 정가에 양가적 시선이 미묘하게 교차하고 있다. 전통적인 한ㆍ미동맹의 가치를 공유하는 의회 내 지한파 그룹에서는 즉각적인 환영과 협력을 기원하는 목소리가 이어지는 반면 ‘마가(MAGAㆍ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란 뜻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선거 슬로건)’로 대표되는 강경 보수 진영에선 이 대통령의 외교 노선에 의구심 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 관계 설정이 최우선 과제 중 하나인 이 대통령을 시험대 앞에 세우는 형국이다. 미 의회 내 지한파 의원들의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은 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진심으로 축하를 보낸다”며 “이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가 한반도와 그 너머 직면한 많은 도전과제를 잘 극복하고 미국의 핵심이자 필수적인 동맹인 한국을 잘 이끌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단에는 공화당 소속 조 윌슨, 마이크 켈리 하원의원과 민주당 소속 아미 베라, 메릴린 스트리클런드 하원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 지한파 의원들 “축하…동맹 진전 기대” 지난해 9월 방한한 상원 내 민주당 중진 크리스 쿤스 의원은 소셜미디어 글을 통해 “이 대통령과 함께 우리의 위대한 한ㆍ미동맹을 향상시키고 일본과 한ㆍ미ㆍ일 3국 안보 협력을 더욱 발전시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ㆍ미관계 강화 결의안을 발의한 바 있는 톰 수오지 민주당 하원의원과 ‘미주 한인의 날’ 지정 결의안 공동 발의자로 참여한 지미 고메즈 민주당 하원의원도 각각 소셜미디어 X 글을 통해 “이 대통령의 성공을 기원하며 제가 발의한 초당적 한ㆍ미동맹 결의안을 통해 양국 파트너십을 계속 지지하겠다”, “이번 평화적 정권 이양은 한국 민주주의의 힘과 회복력을 보여주는 증거로 양국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기대한다”고 했다. 한인 유권자가 많은 뉴저지에 지역구를 둔 조시 고트하이머 하원의원도 소셜미디어에 이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어느 때보다 한ㆍ미관계가 강력히 유지되는 게 중요하다”는 글을 올렸다. 한국계 의원들도 잇따라 환영과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동아시아태평양소위 위원장인 영 김 공화당 의원은 “이재명 정부, 자유롭고 민주적인 대한민국과 함께 한ㆍ미동맹 수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데이브 민 민주당 하원의원 역시 축하 인사와 함께 “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