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오봉산五峯山(779m) 강원도 춘천시

sans339

2

25-08-01 13:04

쿠팡퀵플렉스 오봉산五峯山(779m)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과 화천군 간동면에 걸쳐 있다.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의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 오봉산이다. 남으로 소양호, 북으로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 잡았다. 이 산이 유명한 건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산으로 둘러싸인 내륙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산행을 위해 배를 타고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청평사는 예전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당시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하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도 옛날이야기가 됐지만 소양댐에서 떠나는 배편엔 항상 사람들도 북적거린다. 대부분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는데, 표고차가 크지 않아 쉽게 정상을 밟을 수 있다.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잘 설치돼 있으나 초심자들은 조심해야 한다.추천 코스: 배후령~서남릉 삼거리~정상~688봉 남쪽 능선삼거리~청평사~청평산장(4시간15분)변산邊山(508m) 전라북도 변산반도는 명승지가 많다. 바다면 바다, 산이면 산, 어느 쪽이든 멋진 풍광을 지닌 곳이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에 솟은 산줄기 안쪽의 산악지대를 내변산, 그 바깥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산줄기를 이루는 많은 봉우리들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이다.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인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줄기를 걸어가며 만나는 풍광 역시 수려해 변산반도 구경을 위한 최적의 산행코스로 꼽는다. 내소사 입구의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관음봉~세봉~세봉 남릉으로 하여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 코스가 일반적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자가용 차량을 내소사 쪽에 세워뒀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롭다. 추천 코스: 내소사 일주문~ 관음봉~세봉~내소사 일주문 (약 2시간)내연산內延山(710m) 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있는 내연산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옆으로 지나쳐 내려오다가 동해안 쪽으로 뻗어나가 솟은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밋밋한 듯 보이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폭포가 자리하고 인도 노란색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위에 임시 전신주가 설치돼 있다. ■ "인도 위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전신주가 다 막아서 다닐 수가 없어요."취재진은 시각장애인 최명애 씨와 현장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먼저,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의 한 인도를 찾아가 봤습니다. 최명애 씨가 흰 지팡이 끝으로 느껴지는 점자블록만 믿고 따라갑니다. 그런데 지팡이에 뭔가 걸려 갈 수가 없습니다. 커다란 전신주입니다. 점자블록을 따라가면 그 중간에 전신주가 떡하니 막고 있는 겁니다.피해서 돌아갔는데 또 전신주가 나옵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걷는 내내 반복됩니다.인도 1km에 설치된 블록 구간에 무려 전신주 40여 개가 촘촘히 박혀있었던 겁니다.임시 전주에는 전신주 지중화 사업이 끝나면 철거하겠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었습니다. 점자블록 위에 설치된 임시전주 최명애 씨는 예상치 못한 전신주에 걷는게 두렵다고 호소했습니다. "엄청 가슴 두근두근대죠. 다칠 수 있는 어떤 좀 위험한 물건이 있지 않나 싶어서. 걱정이 일단 되고. 넘어질까봐 좀 겁나고." - 시각장애인 최명애 씨 - 벌써 3년째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어떻게 이런 공사가 이뤄진 걸까요? 3년 전, 춘천시는 이 일대의 도로 공사를 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전력이 기존 전신주를 뽑고 임시 전주를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그 자리가 하필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위치였던 겁니다. 그 외에는 '마땅한 자리가 없다'는 이유였습니다.춘천시가 이 내용을 알고 있는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봤습니다. 춘천시 도시재생 담당자는 앞서 여러 민원으로 이 상황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딱히 할 수 있는건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지속적으로 한전에 문서를 보내 그 전신주를 철거해 달라고 독촉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이번엔 한국전력 강원본부에 왜 이렇게 공사를 했는지, 어떻게 처리할 건지 물었습니다. 시공사와 협의해 조만간 임시 전주를 철거할 예정 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전 쿠팡퀵플렉스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