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헌·주수경 말라위 선교사가 지난 4월 아프리카 말라위 구물리라 치소모아동센터 앞에서 센터 아이들과 함께 머리 위로 하트 모양을 하며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치과의사로서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의료선교를 펼치는 강지헌(65) 선교사가 ‘에파타덴탈클리닉’(에바다치과진료소)이라고 적힌 갈색 벽돌의 단층 건물 문을 열어젖히자 주변을 거닐 던 아프리카 난민들이 하나둘씩 관심을 보이며 모여들었다.16.5㎡(5평) 남짓한 진료소 내부에는 최신식 치과 치료 의자 하나가 놓여 있었다. 20대 아프리카 청년 두 명이 진료소를 찾은 한 중년 여성의 치아를 이리저리 살펴보며 진찰했다. 강 선교사는 그들 옆에 서서 틈틈이 조언을 건넸다.지난 4월 말 강 선교사를 만난 이곳은 말라위 수도 릴롱궤 인근의 잘레카(Dzaleka)난민캠프다. 캠프에는 내전 등을 피해 콩고민주공화국, 부룬디, 르완다 등에서 온
5만2000여 명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가 산다. 강 선교사는 주기적으로 이곳을 찾아 무료 진료해왔다. 앞서 진찰하던 청년들은 강 선교사의 제자로 말라위대학교 보건대학 치의과 학부생인 이삭 루크 줄리오(25)씨와 노엘 카수페(24)씨이다.강 선교사는 “20년 가까이 우크라이나와 몽골에서 현지인 제자들을 가르쳐왔는데, 어느 날 아프리카는 우크라이나나 몽골과 달리 의료 공급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말을 듣게 됐다”며 “교육도 중요하지만, 공급이 없는 곳에서 하나의 공급원이 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에 이곳에 온 게 벌써 10년이 됐다”며 웃었다.140년 전 한국에 뿌려진 선교 씨앗, 열매 맺어 아프리카로… 강지헌(왼쪽) 선교사가 난민캠프 내에 마련된 임시 치과 진료소에서 제자들과 함께 진료를 보고 있다. 아래 사진은 강 선교사가 진료팀원들과 함께 사진을 찍은 모습. 19세기 말 우리나라에서 의료선교를 펼친 미국인 의사 로제타 홀(1865~1951) 선교사의 헌신은 박에스더(1876~1910)라는 한국 최초의 여성 의사를 길러내는 자양분이 됐다. 선교사들에 의해 한국 땅에 뿌려진 선교의 씨앗은 140년이 흐른 지금, 강 선교사 같은 열매로 맺혔다.
더 나아가 이역만리의 말라위에 또 다른 씨앗으로 재탄생하고 있었다. 말라위는 ‘아프리카의 따뜻한 심장’이라고 불린다. 여느 아프리카와 달리 내전이 거의 없었다. 이 (대만 연합신문망 갈무리)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대만이 돈을 만진 손으로 음식을 건드리는 상인에게 최고 2억 대만달러(약 90억8000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그러나 노점상들의 반발이 거세자 '지도'를 중심으로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5일 대만 ET투데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대만 식품의약품청은 지난해 1월 입법 예고된 우수 식품위생관리지침 개정안을 이날부터 공식 시행에 들어갔다.식품 안전과 관련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식품 위생 기준'을 수정해 식품업 관련 종사자가 음식을 다루면서 지속적으로 돈이나 기타 교차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만지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많은 노점상들이 현금을 만진 후 음식을 만지는 현상으로 인해 세균성 감염 우려가 나오자 이를 근절하기 위함이다. 실제 지난해 3월 대형 집단 식중독 사건으로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번 개정안에선 식품 제조 사업자에만 해당하던 준칙을 일반 음식점, 노점상, 배달 라이더까지 확대 적용했다. 앞서 대만에선 라이더가 배달 도중 땅에 떨어진 음식을 재포장해 배달하는 일이 발생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아르바이트생 등 모든 신규 종사자는 최소 3시간의 교육과 매년 3시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보건 당국은 규정을 위반한 상인에게 기한 내 시정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만약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6만 대만달러(약 273만 원)에서 최고 2억 대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신고자에게는 벌금의 2~5%에 달하는 금액을 포상하는 제도를 마련했다. 이 외에도 당국은 별도의 400만 대만달러(약 1억8000만 원)도 포상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하고 있다.그러나 거스름돈을 돌려주기 위한 추가 인력을 고용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영세 노점상들로부터 '비현실적'이라는 반발이 터져나왔다. 이와 관련 왕위민 국민당 입법부 의원은 "보건복지부의 정책 시행 과정이 충분히 세심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치우타이위안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번 규정은 전국이 식품 위생 개선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며 "우선 정책 지도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ejju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