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위의장 및 비대위원도 일괄 사의權 "보수 재건 위해 백지에서 논의를""당내 계파 갈등과 분열이 단결 저해"김용태 비대위원장 거취는 내주 결정총사퇴 요구 우세···"金은 계속" 반론도'3특검법' 반대 당론에도 이탈표 나와5일 사퇴를 선언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고개를 숙인 채 발언대로 향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서울경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6·3 대선 패배에 대해 “저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고 회피할 생각도 없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비상대책위원들도 함께 직을 내려놓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를 두고는 의원마다 입장이 엇갈려 다음주에 최종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이른바 ‘3대 특검법’ 표결에서 반대 당론을 채택했음에도 이탈표가 나오는 등 당내 불협화음이 이어지고 있다.권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보수의 재건을 위해 백지에서 새롭게 논의해야 한다”며 “저부터 원내대표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대선 결과와 관련해 “국민들께서 내려주신 매서운 회초리를 겸허하게 수용한다”며 “국민의힘은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에 대한 준엄한 심판을 넘어 지난 윤석열 정부 3년의 실패에 대해 집권 여당으로서 총체적 심판을 받았다”고 밝혔다.권 원내대표는 특히 “22대 총선 참패 이후 심화된 당내 계파 갈등과 분열이 우리 지지자들의 원팀 단결을 저해했다는 지적을 뼈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원내대표라서 저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다. 그 책임을 회피할 생각도 변명할 생각도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지난해 7월 전당대회 이후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의 대립이 대선 패배의 한 원인이 됐다는 자성이다.권 원내대표는 사의 표명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중진 의원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 패배 시 사퇴한다는 마음을 오래전부터 먹었다”고 말했다. 다만 권 원내대표는 차기 원내대표 선출 전까지는 직을 유지한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원내대표는 대행 제도가 없어 다음 원내대표 선출 전까지는 업무를 계속하게 된다”고 설명했다.신임 원내 사령탑은 여대야소 정국에서 정부·여당의 강한 ‘입법 드라이브’를 방어해야 한다. 이 때문에 5선에 야당 시절 원내대표
경험이 있는 김기현·나경원 의원, 대선 기간 사무총장을 지낸 4선 박대출 의원 등 중진들이 주로 언급된다. 친한계에서는 수도권 3선인 송석준·김성원 의원 등이 거명된다.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정책위의장 및 비대위원도 일괄 사의權 "보수 재건 위해 백지에서 논의를""당내 계파 갈등과 분열이 단결 저해"김용태 비대위원장 거취는 내주 결정총사퇴 요구 우세···"金은 계속" 반론도'3특검법' 반대 당론에도 이탈표 나와5일 사퇴를 선언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고개를 숙인 채 발언대로 향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서울경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6·3 대선 패배에 대해 “저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고 회피할 생각도 없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비상대책위원들도 함께 직을 내려놓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를 두고는 의원마다 입장이 엇갈려 다음주에 최종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이른바 ‘3대 특검법’ 표결에서 반대 당론을 채택했음에도 이탈표가 나오는 등 당내 불협화음이 이어지고 있다.권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보수의 재건을 위해 백지에서 새롭게 논의해야 한다”며 “저부터 원내대표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대선 결과와 관련해 “국민들께서 내려주신 매서운 회초리를 겸허하게 수용한다”며 “국민의힘은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에 대한 준엄한 심판을 넘어 지난 윤석열 정부 3년의 실패에 대해 집권 여당으로서 총체적 심판을 받았다”고 밝혔다.권 원내대표는 특히 “22대 총선 참패 이후 심화된 당내 계파 갈등과 분열이 우리 지지자들의 원팀 단결을 저해했다는 지적을 뼈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원내대표라서 저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다. 그 책임을 회피할 생각도 변명할 생각도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지난해 7월 전당대회 이후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의 대립이 대선 패배의 한 원인이 됐다는 자성이다.권 원내대표는 사의 표명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중진 의원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 패배 시 사퇴한다는 마음을 오래전부터 먹었다”고 말했다. 다만 권 원내대표는 차기 원내대표 선출 전까지는 직을 유지한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원내대표는 대행 제도가 없어 다음 원내대표 선출 전까지는 업무를 계속하게 된다”고 설명했다.신임 원내 사령탑은 여대야소 정국에서 정부·여당의 강한 ‘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