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상위노출
한미 양국은 7월 31일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은 2주 내 열릴 전망이다. 뉴스1 "기한 내 협상을 이뤄낸 것은 칭찬할 만하지만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와 같은 관세를 내는 것은 아쉽다."(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각국 GDP(국내총생산) 대비 투자 규모를 고려하면 3500억 달러 투자는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하루 앞두고 7월 31일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과 미국은 한국산 제품의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또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7조 원)를 투자하기로 했다.3500억 달러 투자, 1000억 달러 에너지 수입한미 양국은 상호관세를 15%로 합의했으며,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 규모 투자와 함께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 달러(약 139조 원)어치 수입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31일 "대미(對美) 관세를 주요 수출 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으로 맞춤으로써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여건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상호관세를 15%로 낮추기로 미국과 합의해 15% 선이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다(표 참조). 정부는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미국 측에 약속했다. '투자 펀드'로 언급된 이 투자 패키지는 앞서 일본이 제시한 5500억 달러(약 765조 원) 규모의 '투자 기구'와 유사하다. 조선·반도체·이차전지 등 미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투자하고자 하는 산업을 투자, 대출, 보증을 통해 지원하는 것이다. 이 중 조선 협력 펀드가 1500억 달러(약 208조 원)로 선박 건조, 유지·보수·정비(MRO), 조영화진흥위원회 상반기 결산, 전년 대비 관객 32.5% 감소[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 ▲ 서울 시내 한 영화관 모습. ⓒ연합뉴스 영화관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영화진흥위원회가 31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결산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극장 전체 매출액은 4079억 원, 관객수는 4250만 명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2%(2024억 원) 줄었고, 관객 수는 32.5%(2043만 명) 줄었다.한국영화만 놓고 보면 감소폭은 더 크다. 2025년 상반기 한국영화 매출액은 2038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43.1%(1545억 원) 줄었다. 관객 수는 2136만 명으로 42.7%(1594만 명)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과 OTT 서비스의 인기로 극장 관객이 크게 줄어든 데다 올해엔 대작이 부족했다. 2024년 상반기엔 '파묘', '범죄도시4'가 1000만 관객을 달성한 것과 비교해 2025년 상반기엔 1000만 작품이 나오지 않았다. 외국 영화 역시 '미션 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과 '미키 17'이 선전했지만 지난해 '인사이드 아웃2', '윙카'의 흥행에는 못 미쳤다. 위기 상황에서 여러 자구책이 나오고 있다. 우선 '독점 콘텐츠'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메가박스는 지난 3월 독점으로 영화를 공급하는 '메가 온리'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을 국내에 독점 개봉했다. CGV에선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협업해 프로야구 경기를 선보이는 특별 상영을 하고 있다. 가격 할인도 잇따랐다. 통신3사와 네이버멤버십 등을 통한 영화 할인 혜택뿐 아니라 정부까지 나섰다. 지난 25일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관람 6000원 할인권을 450만 장 배포했다.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에 중복 할인을 적용하면 1000원에 영화를 관람할 수도 있다.
웹사이트상위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