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이파크시티
일상에서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물건들은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장과 뇌 호르몬 건강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사진=AI 이용해 생성] 미국의 한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일상에서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독성 물질 8가지를 공개하며, 가능한 한 빨리 생활 속에서 제거할 것을 권고했다. 테플론 코팅이 손상된 프라이팬, 인공 감미료, 향이 강한 세탁세제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물건들이 그 대상이다.미국 캘리포니아 소화기내과 전문의 사우라브 세티 박사는 2일(현지시각)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지금 당장 생활 속에서 없애야 할 독성 물질 8가지를 소개했다. 하버드 출신인 그는 팔로워 123만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주요 매체에도 자주 등장하는 인플루언서 의사다.세티 박사가 가장 먼저 언급한 것은 긁히거나 벗겨진 테플론(PTFE) 프라이팬이다. 그는 "프라이팬에 긁힌 자국이 있다면 그걸로 끝"이라며 "손상된 테플론 코팅은 고온에서 미세플라스틱과 독성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신 그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세라믹이나 무쇠, 스테인리스 스틸 프라이팬으로 교체하라고 추천했다. 테플론 프라이팬은 흔히 코팅팬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도 기름 없이도 음식이 잘 눌어붙지 않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코팅이 손상되면 독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260도 이상 고온에서 가열하면 유해가스가 방출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인공 감미료, 특히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도 문제로 지적됐다.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수백 배 단맛을 내면서 칼로리는 거의 없어 최근 다이어트 식품이나 제로 음료 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세티 박사는 이들이 장내 유익균과 혈당 조절, 식욕 신호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포도당 불내증과 장내 미생물 변화와도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신 자연유래 감미료인 퓨어 몽크프루트, 퓨어 스테비아나 진짜 과일 등 섭취하는 것을 추천했다.플라스틱 생수병도 조심해야 할 대상으로 꼽혔다. 특히 고온에 노출된 생수병은 BPA(비스페놀 하늘에서 바라본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1·2·3·4호기 전경. 연합뉴스 “원전을 새로 짓지 않아도 미래 전력 공급이 가능한가?”인공지능(AI) 산업 발전 등의 전망을 앞세워 최근 곧잘 제기되는 질문이다. 태양광 전문가인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확보 가능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의 시장 잠재량은 약 600테라와트시(TWh, 연간)에 달하기 때문에, 신규 원전 없이 기존 원전(189TWh)만 잘 활용해도 2038년 예상 전력 수요량인 735TWh를 충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1일 국회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수요 대응전략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한 연구원은 “신규 원전 건설 없이도 미래 전력 수요와 탄소 감축에 대응하기 위해 태양광과 풍력 발전 확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날 발표에서 그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이 2038년 예상 전력 수요 90%를 감당할 정도로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시장 잠재량은 지형·기술적 제약뿐 아니라 정부 지원책과 규제 등 경제성까지 반영한 가장 보수적인 미래 발전량 예측 방법으로 평가된다.조사 결과를 보면, 지형과 정부 지원책, 규제 등의 경제성까지 반영할 때 현재 시장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태양광 잠재량은 495TWh, 육상과 해상을 합친 풍력 발전의 잠재량은 171TWh였다. 이를 합한 재생에너지 총 시장 잠재량은 666TWh로 2038년 예상 전력 소비량 735TWh의 약 90%에 달한다. 태양광과 풍력의 시장 잠재 발전량은 실제 건설할 수 있는 발전 설비량에 운영 효율(태양광 20%, 풍력 40%)을 반영해 환산했다.한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원전 발전량이 189TWh, 액화천연가스 발전량이 167TWh임을 고려할 때,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667TWh)을 잘 활용하면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도 충분한 전력 조달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가동 중인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140TWh를 달성해 ‘무탄소 발전 비중’이 53%가 되면, 석탄발전소(발전량 167TWh)를 폐쇄해도 추가 원전 건설 없이 2030년 온실
천안아이파크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