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코스피 지수의 상승세에도 개인 투자자들의 ‘국장 탈출’이 계속되고 있다. 개인들의 이탈이 계속되는 가운데 나스닥은 한국을 찾아 서학개미(해외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직접 세일즈에 나선다. 업계에서는 자본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인들의 이탈이 계속될 경우 증시 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 지수는 직전 거래일 대비 41.21포인트(1.49%) 오른 2812.05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지수가 2800선을 넘은 것은 블랙먼데이 충격이 발생하기 직전인 지난해 7월 18일(2824.35) 이후 11개월 만이다. 이 대통령 취임 2거래일 만에 110포인트 넘게 오르면서 2700선에 이어 2800선마저 단숨에 돌파했다. 증시가 상승 랠리를 타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은 총 2조 4151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증권가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지만 개인들의 불신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나스닥, 24시간 거래 앞세워 韓서 첫 대형 콘퍼런스 나스닥 CI. 연합뉴스 나스닥은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미국 시장의 잠재력을 끌어내다(unlocking the potential of us markets)’는 이름으로 콘퍼런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나스닥 측은 현재 개별적으로 증권사들과 접촉하며 참석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나스닥이 국내에서 이 같은 대형 행사를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행사에는 나스닥의 가릭 스타브로비치 데이터프로덕트 헤드, 제임스 매키언 아태지역 데이터·지수·분석 헤드, 브루스 대체거래소(ATS)의 제이슨 왈라치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한다. 콘퍼런스 논의 주제는 △아시아에서의 ‘주 5일 24시간 거래’ 수요 △야간 주식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회·과제·요건 △증권사 플랫폼과 고객·시장에 미치는 영향 △패시브 투자 성장 속에서 지수 제공자의 역할 변화 등이다.나스닥이 한국을 찾는 이유 5일 오후 인천 남동구 한 공원. 한 시민이 비둘기들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이인엽기자 “누군가 자꾸 먹이를 주니 새들이 수십마리나 몰려드는 것 같아요. 무서워서 지나갈 수가 없어요.” 5일 오후 1시께 인천 남동구 한 공원. 한 시민이 벤치에 앉아 과자 부스러기를 뿌리기 시작했다. 마치 마술쇼와 같이 수십마리의 비둘기가 몰려들었고 이곳을 지나던 다른 시민들은 깜짝 놀라 가던 길을 멀찌감치 돌아갔다. 공원 바로 옆에 사는 김신영씨(67)는 “비둘기 배설물 때문에 집 주변에 파리가 들끓고 악취에 시달린다”며 “조류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공원을 지나기도 힘들다”고 토로했다. 인천시와 각 군·구가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를 제한하지 않아 비둘기 배설물과 털 날림 등으로 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이날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집비둘기는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됐다. 또 올해
1월부터 야생생물법 23조의3(유해야생동물의 관리)을 근거로 지방자치단체장이 조례를 만들어 비둘기 먹이주기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인천시와 군·구는 비둘기로 인한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기피제, 버드스파이크, 현수막 등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비둘기를 몰려들게 하는 먹이주기에 관한 조례는 상위법 시행 반년이 지나도록 마련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먹이를 줘도 단속이나 처벌을 하지 못하니 관련 민원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 각 구마다 비둘기 관련 민원은 한 해 10~30건, 많은 곳은 60건까지 들어오고 있다. 반면, 서울시와 광주 남구, 대구 달서구 등은 일찌감치 조례를 만들어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를 제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7월부터 광화문광장, 한강공원 등 38곳에서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지 못하게 하고 이를 어기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먹이주기는 제한하되 공존 방법을 고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유정칠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비둘기의 배설물과 털은 위생 문제뿐만 아니라 공공시설물 고장 및 부식 등 안전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지자체가 나서 무분별한 먹이주기를 제한하고 지정된 곳에서 전용먹이를 주는 등 체계적인 공존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