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에게 침팬지가 ‘하품 전염’” “인조인간 하품에 졸린 듯 눕기도” 인조인간이 하품하면 침팬지가 따라했다. 일부는 눕는 시늉도 했다. /사이언티픽 리포트사람 표정을 모방하는 로봇이 하품을 하면 이를 보고 있던 침팬지들도 전염돼 따라한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대 세인트 조지 캠퍼스의 베아트리스 칼보-메리노 교수팀은 인간의 표정을 모방하는 인조인간(android)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인조인간이 하품을 하면 침팬지에게 전염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6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연구팀은 먼저 사람 얼굴을 똑같이 흉내
내는 인조인간을 만들었다. 안드로이드 머리엔 사람의 근육 역할을 하는 회전 모터 33개가 장착돼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도록 했다.연구팀은 이 인조인간이 입을 다문 모습(neutral)과 입을 벌린 모습(gaping), 하품하는 모습(yawning) 등을 14마리의 침팬지들에게 10초씩 보여주었다. 이에 침팬지 14마리 중 8마리는 인조인간이 하품 하는 것을 보고 따라하는 ‘하품 전염 현상(contagious yawning)‘을 보였다. 8마리는 하품하는 모습을 보고 마치 졸린 듯 눕는 행동을 했고, 일부는 눕기 전에 침구를 모으는 행동도 했다.연구진은 이에 “이것은 아마도 무생물로부터 동물이 하품 전염이 된 경우를 관찰한 첫 사례일 것”이라면서 “하품이 단순히 자동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휴식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로봇에게 침팬지가 ‘하품 전염’” “인조인간 하품에 졸린 듯 눕기도” 인조인간이 하품하면 침팬지가 따라했다. 일부는 눕는 시늉도 했다. /사이언티픽 리포트사람 표정을 모방하는 로봇이 하품을 하면 이를 보고 있던 침팬지들도 전염돼 따라한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대 세인트 조지 캠퍼스의 베아트리스 칼보-메리노 교수팀은 인간의 표정을 모방하는 인조인간(android)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인조인간이 하품을 하면 침팬지에게 전염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6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연구팀은 먼저 사람 얼굴을 똑같이 흉내 내는 인조인간을 만들었다. 안드로이드 머리엔 사람의 근육 역할을 하는 회전 모터 33개가 장착돼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도록 했다.연구팀은 이 인조인간이 입을 다문 모습(neutral)과 입을 벌린 모습(gaping), 하품하는 모습(yawning) 등을 14마리의 침팬지들에게 10초씩 보여주었다. 이에 침팬지 14마리 중 8마리는 인조인간이 하품 하는 것을 보고 따라하는 ‘하품 전염 현상(contagious yawning)‘을 보였다. 8마리는 하품하는 모습을 보고 마치 졸린 듯 눕는 행동을 했고, 일부는 눕기 전에 침구를 모으는 행동도 했다.연구진은 이에 “이것은 아마도 무생물로부터 동물이 하품 전염이 된 경우를 관찰한 첫 사례일 것”이라면서 “하품이 단순히 자동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휴식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