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비 국민의힘 인천시의원 (사진, 인천시의회) 소셜미디어(SNS)에서 시민과 거친 설전을 벌인 현역 국민의힘 시의원이 이틀 만에 사과했습니다. 이단비 국민의힘 인천시의원은 오늘(7일) 오전 본인 SNS에 최근 있었던 시민과의 설전에 대해 "수준 낮은 언행을 보여드려 죄송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의원은 "(저의)첫 댓글이 학벌 시비로 시작했기 때문에 SNS에서 벌어진 일은 온전히 제 불찰"이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번 논란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표현한 한 누리꾼의 글에 이 의원이 댓글을 남기며 촉발됐습니다. 이단비 시의원과 A씨의 SNS 대화 내용 일부 ('스레드' 갈무리) 누리꾼 A씨가 "이준석은 학벌은 높은지 몰라도 결국 시험을 남들보다 잘 본 사람이란 뜻"이라며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테스트다. 그럼 이준석 민주주의 시험장의 시험성적은?"이라는 글을 남겼습니다.그러자 이단비 의원은 이 글에 "넌 학벌도 안 좋지?ㅋㅋ"라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이에 A씨가 "시의원 수준 봐라"고 응수하자, 이 의원은 "극좌들은 직업과 학벌 좋은 사람 비난하면서, 그럼 너는 직업이랑 학교 어디냐고 물어보면 왜 부들거림ㅋㅋ"이라고 공세를 이어갔습니다.이 의원은 계속해서 "그래서 10대부터 어떻게 살았길래 넌 그 모양으로 사니"라며 "결국 10대부터 지금까지 성실이 못 살아서 부들부들 잘 알겠습니다"라는 공격적인 글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논쟁이 논란으로 번지게 됐고, 글 작성자인 A씨는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공직자가 이런 수준 언행을 하는 것에 깜짝 놀랐고 공직자가 시민에게 이렇게까지 하는 게 아무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하나의 문화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습니다.이 의원은 이 직후 전후맥락을 삭제하고 비하 방향으로 몰아갔고 해당 SNS(스레드)가 본래 반말을 하는 곳이라며 떳떳하다고 주장해 오다가, 이날 결국 사과했습니다. 이 의원은 "저는 상위 댓글에 대해 이 부분이 학벌에 대한 설명을 했다고 생각해 상호 토론 중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라며, "스레드에서 확인 결과 상위 댓글에 대한 대댓글을 확인할 수 없었고, 상호 토론 중 [서울=뉴시스] 미중 관세 전쟁으로 중국이 자국 항공사에 인도될 예정이던 보잉 항공기 1대를 미국으로 돌려보냈다. 중국 샤먼항공 보잉 맥스 737 항공기 자료사진. <사진출처: 바이두> 2025.04.21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지난 4월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단한 중국 항공사의 보잉 항공기 인수가 7일 재개됐다고 중앙통신과 제일재경(第一財經) 등이 보도했다.매체는 보잉 737 MAX 신형기가 미국 시애틀을 이륙해 하와이 카이울라 코나 공항에 착륙했으며 재급유 후 이날 중국으로 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보잉이 이번에 인도하는 737 MAX는 애초 저장(浙江)성 저우산(舟山) 공장에서 발주 항공사인 샤먼(厦門) 항공에 넘길 계획이었지만 무역전쟁으로 미국으로 반송됐다.당시 중국 당국은 아직 인도하지 않은 보잉 항공기를 더 받지 않도록 하고 관련 부품과 장비도 도입하지 말라고 했다.이에 따라 중국국제항공이 주문한 보잉 737 MAX가 최소한 3대나 미국으로 반송됐다.그러다가 지난달 12일 미중 양국이 제네바 회담에서 무역전쟁을 잠정 휴전하기로 하면서 중국은 자국 항공사들의 보잉 항공기 인수 금지 조치를 풀었다.켈리 오트버그 보잉 최고경영자(CEO)는 5월29일 "중국이 항공기를 다시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며 6월부터 중국에 항공기 인도를 재개한다고 확인했다. 이와 관련해 오트버그 CEO는 이탈리아와 일본에서 수입한 부품에 부과한 관세로 생산 비용이 증가했지만 항공기를 수출하면 해당 관세는 환급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보잉은 이들 국가에서 수입한 부품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737MAX(드림라이너)를 제조하고 있다.오트버그 CEO는 또한 앞으로 보잉의 737 MAX 생산량을 현재 월 38대에서 단기적으로 42대, 연말까지 47대로 확대할 방침을 발표했다.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