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조 프로젝트 수주···2036년까지 준공체코 위해 별도 원자로 설계·인증 획득도아시아·아프리카서 추가 수주 가능성도아랍에미리트(UAE)에 건설된 바라카 원전 1~4호기의 야경. 사진제공=한전[서울경제]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5·6호기 신설 사업 최종 수주에 성공하면서 K원전 수출 신화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베트남 등 신규 원전 건설을 검토 중인 나라에서도 입찰 참여를 준비하고 있어 K원전의 영토가 더 넓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7일 한수원에 따르면 ‘팀 코리아’는 약 26조 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세계 원전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해온
유럽 시장에 한국 원전을 짓는 것이어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체코 정부가 향후 5년 내 테멜린 원전 3·4호기도 발주할 경우 한수원을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하기로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 4기의 원전이 유럽 시장에 진입할 수도 있다.두코바니 1~4호기 인근에 새로 건설하게 될 원자로는 한국형 원전의 개량형인 APR-1000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설비 용량은 각 1000MW다. 한국형 원전은 원래 1400MW급인 APR-1400이지만 한수원은 체코 측의 요청에 맞춰 용량을 낮춘 원자로를 새로 설계한 뒤 유럽사업자요건(EUR) 설계 인증을 취득했다. 유럽 당국도 K-원전의 안정성과 기술력을 인정했다는 이야기다.한수원은 최종 계약이 체결된 만큼 발주사와 킥오프 회의를 개최한 뒤 최대한 빠르게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두코바니에 현장 사무소를 개설하고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즉시 파견해 필요한 업무를 시작할 계획이다. 프로젝트에는 한전기술과 한전연료, 한전KPS 등 한국전력공사 산하 자회사들은 물론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 한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다. 준공 목표 시점은 2036년이다.업계에서는 유럽 외 다른 곳에서도 추가 수주 소식이 들려올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를 필두로 중동 국가들이 원전 건설을 진지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아랍에미리트(UAE)의 바라카 1~4호기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정상 가동 중이라는 점을 눈여겨보고 있다는 후문이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아프리26조 프로젝트 수주···2036년까지 준공체코 위해 별도 원자로 설계·인증 획득도아시아·아프리카서 추가
수주 가능성도아랍에미리트(UAE)에 건설된 바라카 원전 1~4호기의 야경. 사진제공=한전[서울경제]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5·6호기 신설 사업 최종 수주에 성공하면서 K원전 수출 신화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베트남 등 신규 원전 건설을 검토 중인 나라에서도 입찰 참여를 준비하고 있어 K원전의 영토가 더 넓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7일 한수원에 따르면 ‘팀 코리아’는 약 26조 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세계 원전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해온 유럽 시장에 한국 원전을 짓는 것이어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체코 정부가 향후 5년 내 테멜린 원전 3·4호기도 발주할 경우 한수원을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하기로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 4기의 원전이 유럽 시장에 진입할 수도 있다.두코바니 1~4호기 인근에 새로 건설하게 될 원자로는 한국형 원전의 개량형인 APR-1000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설비 용량은 각 1000MW다. 한국형 원전은 원래 1400MW급인 APR-1400이지만 한수원은 체코 측의 요청에 맞춰 용량을 낮춘 원자로를 새로 설계한 뒤 유럽사업자요건(EUR) 설계 인증을 취득했다. 유럽 당국도 K-원전의 안정성과 기술력을 인정했다는 이야기다.한수원은 최종 계약이 체결된 만큼 발주사와 킥오프 회의를 개최한 뒤 최대한 빠르게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두코바니에 현장 사무소를 개설하고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즉시 파견해 필요한 업무를 시작할 계획이다. 프로젝트에는 한전기술과 한전연료, 한전KPS 등 한국전력공사 산하 자회사들은 물론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 한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다. 준공 목표 시점은 2036년이다.업계에서는 유럽 외 다른 곳에서도 추가 수주 소식이 들려올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를 필두로 중동 국가들이 원전 건설을 진지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아랍에미리트(UAE)의 바라카 1~4호기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정상 가동 중이라는 점을 눈여겨보고 있다는 후문이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아프리카에서도 복수의 국가들이 원전 도입을 고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