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엔진의 미래]②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 인터뷰글로벌 2티어 목표, 초기엔 합작사 준비…"라이센스 생산 미래없다"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이 창원 본사에서인터뷰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제공)(창원=뉴스1) 금준혁 기자 = "잘 만든 코어엔진이 열 엔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앞의 팬을 키우면 여객기, 작게 하면 전투기용입니다." 코어엔진이란 항공 엔진에서 3대 핵심 부품인 압축기, 연소기, 터빈을 일컫는 말이다. 전기차에 비유하자면 기반이 되는 플랫폼을 잘 개발하면 여러 차종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세 가지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3대 핵심 부품이기도 하다. 이론상 항공 엔진과 가스터빈의 80~90% 비슷하기 때문이다.두산에너빌리티(034020) 창원 본사에서 막 고객사와 미팅을 마치고 온 이동훈 항공엔진개발팀장을 만났다. 이 팀장은 항공우주공학 박사로 2000년부터 유도무기, 가스터빈 등을 개발해 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3월 항공 엔진 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하고 올해 1월 항공엔진개발팀을 정식으로 구성했다."항공 엔진과 가스터빈 원리 같아…韓 유일 자체 생산 기술력 보유"두산에너빌리티의 강점은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가스터빈을 개발하며 쌓아온 기술력이다. 항공 엔진은 가스터빈의 일종이다. 고정된 채로 운전되는 발전용과 달리 높은 고도에서 빠른 속도로 운영된다는 점이 다르다.이 팀장은 "원리와 구성은 같지만 발전용은 12미터에 330톤이라면 항공용은 2미터에 1톤이 안 된다"며 "발전용은 수명과 효율이 핵심이라면 항공용은 같은 크기라면 무게를 줄이는 게 허들"이라고
말했다.예컨대 발전용 가스터빈은 효율이 0.1%만 차이 나도 발전소에서 일 년에 쓰는 연료비가 수십억 추가된다. 비슷한 맥락에서 1000㎏인 항공 엔진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연료 효율을 높이는 핵심이다.현재 12미터 규모 대형 발전용 가스터빈을 연간 6대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 팀장은 "국내 유일의 고온 부품 공장, 터빈 블레이드·베인(날개 부품)을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라며 "항공용은 발전용보다 좁고 심플하기 때문에 수요에 따라 연간 수십대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이 창원 본사에서인터뷰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제공)초소형[항공엔진의 미래]②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 인터뷰글로벌 2티어 목표, 초기엔 합작사 준비…"라이센스 생산 미래없다"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이 창원 본사에서인터뷰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제공)(창원=뉴스1) 금준혁 기자 = "잘 만든 코어엔진이 열 엔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앞의 팬을 키우면 여객기, 작게 하면 전투기용입니다." 코어엔진이란 항공 엔진에서 3대 핵심 부품인 압축기, 연소기, 터빈을 일컫는 말이다. 전기차에 비유하자면 기반이 되는 플랫폼을 잘 개발하면 여러 차종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세 가지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3대 핵심 부품이기도 하다. 이론상 항공 엔진과 가스터빈의 80~90% 비슷하기 때문이다.두산에너빌리티(034020) 창원 본사에서 막 고객사와 미팅을 마치고 온 이동훈 항공엔진개발팀장을 만났다. 이 팀장은 항공우주공학 박사로 2000년부터 유도무기, 가스터빈 등을 개발해 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3월 항공 엔진 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하고 올해 1월 항공엔진개발팀을 정식으로 구성했다."항공 엔진과 가스터빈 원리 같아…韓 유일 자체 생산 기술력 보유"두산에너빌리티의 강점은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가스터빈을 개발하며 쌓아온 기술력이다. 항공 엔진은 가스터빈의 일종이다. 고정된 채로 운전되는 발전용과 달리 높은 고도에서 빠른 속도로 운영된다는 점이 다르다.이 팀장은 "원리와 구성은 같지만 발전용은 12미터에 330톤이라면 항공용은 2미터에 1톤이 안 된다"며 "발전용은 수명과 효율이 핵심이라면 항공용은 같은 크기라면 무게를 줄이는 게 허들"이라고 말했다.예컨대 발전용 가스터빈은 효율이 0.1%만 차이 나도 발전소에서 일 년에 쓰는 연료비가 수십억 추가된다. 비슷한 맥락에서 1000㎏인 항공 엔진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연료 효율을 높이는 핵심이다.현재 12미터 규모 대형 발전용 가스터빈을 연간 6대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 팀장은 "국내 유일의 고온 부품 공장, 터빈 블레이드·베인(날개 부품)을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라며 "항공용은 발전용보다 좁고 심플하기 때문에 수요에 따라 연간 수십대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이동훈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엔진개발팀장이 창원 본사에서인터뷰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제공)초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