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치과
유엔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친밀한 관계 내 살인사건 피해자의 80%가 여성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알 수 없다. 국가 차원에서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에 대한 성별 통계 자체를 작성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마 민간단체인 한국여성의전화가 2009년부터 매년 언론에 보도된 교제폭력 사건들을 자체 분석하고 있는데, 2024년 기준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게 살해된 여성은 181명이다. 살해될 위험에 처했던 피해자까지 합하면 최소 650명에 달한다. 헤어지다 죽은 여자들 경향신문 여성서사아카이브 플랫팀은 <헤어지다 죽은 여자들>에서 딸들을 교제폭력으로 잃은 부모와 피해자들 곁을 지키는 활동가, 변호사, 연구자 등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의 교제폭력 현실을 바라본다.[더 이상 한 명도 잃을 수 없다] 기획 기사 리스트[더 이상 한명도 잃을 수 없다]“과거엔 피해자, 지금은 생존자, 미래엔…조력자 되고 싶어요”교제폭력은 모르는 사람으로부터의 폭력보다 훨씬 위험하다. 가해자가 피해자의 가족, 사는 곳 등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피해자가 위험성을 자각하기 어렵고, 경미한 폭행에서 갑자기 살인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현재 경찰 조사 단계에선 친밀한 관계‘라서’ 더 위험한 것이 아니라, “친밀한 관계‘니까’ 네가 참으라”는 식으로 가해자를 두둔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19대 국회 이후로 발의된 교제폭력 법안들은 무관심 속에 잊혀왔다. 헤어지다 죽은 여자들 2024년 경남 거제에서 동갑내기 전 남자친구에게 폭행당한 여성이 사망했다. 사망 이전 열한 번이나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번번이 쌍방폭행 등으로 풀어줬다. 30분 넘게 구타당해 사망한 사건이지만 법원은 ‘우발적인 살인’이었다며 살인죄가 아닌 상해치사죄를 적용했다. 어머니 손은진씨는 절규한다. “더 큰 문제는 우리 같은 사람이 이 세상에 너무 많다는 거예요. 전국에서 데이트폭력, 교제폭력으로 죽은 사람들 가족 한번 모아보세요. 이게 다른 사회적 참사들하고 무슨 차이가 있어요?”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하루라도 빨리 국가가 의지를 가지고 교제폭력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대책들을 세워야 한다고.▼김지원 기자 deepdeep@khan.kr플랫팀 기자 flat@kyunghyang.com▲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의 현직 지도자들 중국 전·현직 지도자가 여름 휴양지에서 주요 현안을 비공개로 논의하는 이른바 '베이다이허(北戴河) 휴가' 기간이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 근교의 허베이성(河北省) 친황다오(秦皇島) 바닷가 휴양지인 베이다이허는 매년 8월 중국 고위 지도자들이 모여 국정 방침과 인사 문제 등을 조율해 온 장소입니다. 통상 열흘 동안 이어지는데, 이러한 휴가 겸 회의는 마오쩌둥 시기부터 이어진 중국 수뇌부 전통이기도 합니다. 회의 개최 여부나 일정·내용 등이 사전에 공개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고위 지도자가 베이다이허에 모인 전문가들에 인사를 전했다는 보도가 중국 관영매체에 나오는 시점이 베이다이허 휴가철의 신호탄으로 해석되어 왔습니다. 중국중앙TV(CCTV)는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공식 서열 5위)는 오늘(3일), 시진핑 총서기(국가주석)의 위임을 받고 베이다이허에서 휴가 중인 전문가들을 찾아 인사를 전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차이 서기는 중국 안보 라인을 총괄하는 시진핑 주석의 최측근으로 꼽힙니다. 차이 서기는 지난해에도 베이다이허 인사 대표를 맡았습니다. 차이 서기는 "전문가 인재는 당과 국가의 귀중한 재산"이라면서 "중국식 현대화로 강국 건설과 민족 부흥의 위업을 전면 추진하는 것은 수많은 전문가 인재가 일하고 창업하는 데 드넓은 무대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전문가 인재가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을 깊이 학습하고, 시대의 중책을 주동적으로 짊어지며, 교육 강국·과학기술 강국·인재 강국 건설을 위해 당과 국가사업 발전에 새롭고 더 큰 공헌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CCTV는 "당 중앙과 국무원(중앙정부)이 우수 전문가 대표를 베이다이허로 초청해 휴가를 보내게 하는 것은 당과 '국가 인재 공작'의 중요한 제도적 조치"라며 올해는 '신시대에 공 세우기'를 주제로 과학기술과 철학·사회과학 분야 전문가, 기초 연구 분야의 청년 인재 등을 모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동두천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