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G7 정상회의 2일차 일정에 나섭니다.첫 한일 정상회담도 진행할 예정인데요.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조기 귀국으로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자세한 내용 국립외교원 민정훈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질문 1> 캐나다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캘거리에서 첫날 일정을 소화했고 오늘 G7 회원국들이 모여있는 캐나다 휴양지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하죠. 오늘은 어떤 논의들이 이뤄질까요?<질문 2> G7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였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귀국을 택하면서, 한미 정상의 첫 만남은 결국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중동 사태의 여파가 한미 정상 첫 만남에도 영향을 미쳤어요?<질문 3> 만약 이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두 정상의 회담을 재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한미 간 최대 통상 현안인 관세 협상 실무 시한이 7월 8일까지인 만큼 정상회담이 그 이전에 이뤄질지 여부가 중요해 보이는데요?<질문 4>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습니다. 한일 수교 60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을 맞아 과거사와 향후 협력에 대한 논의가 있을지 주목됩니다.<질문 5>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지만, 관세 합의에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은 지금까지 여섯 차례 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였는데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 같은데요?<질문 6> 이 대통령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G7 정상회의라는 다자외교 무대를 배경으로 첫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 “국제적 공헌과 국격에 걸맞은 외교로 ‘G7 플러스’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가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얼마나 구체적 성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시나요?<질문 7> 조금 전 들어온 소식인데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최고 지도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서, 지금은 살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란이 무조건적으로 항복해야한다고 했는데요. 상당히 발언 수위가 높은데, 어떻게 보십니까?<질문 8>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 정상들과 예정된<출연 :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G7 정상회의 2일차 일정에 나섭니다.첫 한일 정상회담도 진행할 예정인데요.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조기 귀국으로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자세한 내용 국립외교원 민정훈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질문 1> 캐나다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캘거리에서 첫날 일정을 소화했고 오늘 G7 회원국들이 모여있는 캐나다 휴양지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하죠. 오늘은 어떤 논의들이 이뤄질까요?<질문 2> G7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였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귀국을 택하면서, 한미 정상의 첫 만남은 결국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중동 사태의 여파가 한미 정상 첫 만남에도 영향을 미쳤어요?<질문 3> 만약 이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두 정상의 회담을 재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한미 간 최대 통상 현안인 관세 협상 실무 시한이 7월 8일까지인 만큼 정상회담이 그 이전에 이뤄질지 여부가 중요해 보이는데요?<질문 4>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습니다. 한일 수교 60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을 맞아 과거사와 향후 협력에 대한 논의가 있을지 주목됩니다.<질문 5>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지만, 관세 합의에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은 지금까지 여섯 차례 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였는데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 같은데요?<질문 6> 이 대통령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G7 정상회의라는 다자외교 무대를 배경으로 첫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 “국제적 공헌과 국격에 걸맞은 외교로 ‘G7 플러스’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가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얼마나 구체적 성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시나요?<질문 7> 조금 전 들어온 소식인데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최고 지도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서, 지금은 살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란이 무조건적으로 항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