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그 자체로 책 전체 내용을 함축하는 문장이 있는가 하면, 단숨에 독자의 마음에 가닿아 책과의 접점을 만드는 문장이 있습니다. 책에서 그런 유의미한 문장을 발췌해 소개합니다. 어릴 적부터 '천자문'과 '명심보감'을 외웠고, 삶의 굽이굽이마다 동양 고전에서 힘을 얻은 저자가 소개하는 '장자'에 관한 이야기다. 어지러운 세상에 마음이 흔들릴 때 장자가 기댈 그늘이 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에 의지해야 할까? 무엇을 피하고, 무엇에 머물러야 할까? 무엇을 따르고, 무엇을 떠나야 할까?"라는 질문의 답을 2500여년 간 전 세계 수많은 사람이 읽어온 고전 '장자'에서 찾는다.요즘 '제2의 IMF'가 찾아온 것 같다고 말씀하는 분들이 주변에 넘쳐납니다. 1997년 벌어졌던 일련의 비극적 사건들이 역사의 한 페이지가 아닌 현재진행형으로 몰려온다는 아우성이 빗발칩니다. 세계를 주름잡던 대기업이 무너져 내리고,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는 도산과 폐업의 수렁에 빠져 있고, 주식을 비롯한 자산 시장은 빙하기에 접어든 모습이 어찌나 닮아 있는지요. 생계가 팍팍해지니 갈수록 인심도 메말라갑니다. 그럴 수밖에요. '항산(恒産)이 있어야, 항심(恒心)이 있다'는 맹자(孟子)의 말씀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먹고사는 문제가 어려워지면 마음이 강퍅해지고 성마르게 변하는 건 인지상정(人之常情)입니다. <14~15쪽>"주평만은 지리익(支離益)에게 용(龍)을 때려잡는 법을 배웠다. 천금이나 되는 돈을 몽땅 쏟아부어 삼 년 만에 기술을 터득했다. 하지만 그 기술을 쓸데가 없었다." (《장자》 잡편 열어구)주평만과 지리익은 모두 허구의 인물입니다. 거금을 들여 용을 때려잡는 법을 배웠는데, 아무짝에도 쓸데가 없다는 짧은 구절입니다만, 저에겐 큰 울림을 안겨준 명문입니다. 특히나 돈에 관한 욕망이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용솟음 칠때마다, 이 구절을 되뇌고 필사합니다. 존재하지도 않는 용을 때려잡겠다고 천금과 삼 년이란 시간을 들인 주평만의 어리석음과 원내대표 정례회동제안 등 '소통' 의지법사위원장·개혁·민생입법·추경 입장차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국민의힘 지도부를 잇따라 접견하며 스킨십 보폭을 넓혔다. 김 원내대표(왼쪽)가 이날 국회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예방해 자리하는 모습. /남윤호 기자 [더팩트ㅣ국회=김시형 기자]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지도부를 잇달아 접견하며 스킨십 보폭을 넓혔다. 여야 원내대표 간 정례회동을 제안하며 '협치의 손'을 내밀었지만, 법제사법위원장 배분 문제와 민생 입법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여야 간 입장차는 여전했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송언석 신임 원내대표를 차례로 접견했다.강 비서실장과 우 수석은 이 자리에서 당정 일체와 함께 야당과의 협치를 주문했다. 강 비서실장은 "여당과 정부는 혼연일체 돼야 한다"며 "김 원내대표가 워낙 대화와 협상을 이끄는 안정감과 뚝심을 가진 능력 있는 분인 만큼 야당과도 잘 소통해 줄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집권여당으로서 성과로 말하고 실천으로 증명하겠다"고 화답했다.우 수석은 청색과 적색이 교차된 '넥타이'를 들어 보이며 소통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여당 원내대표단인 박상혁·김현정 의원도 저랑 비슷하게 입고 온 만큼 대화 의지가 넥타이에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도 정치 회복을 위해 여야 신임 원내대표를 오찬에 초청한 것으로 전해졌다.대통령실은 이날 민주당 원내지도부에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신속 처리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우 수석이 '추경을 최대한 서둘러 달라'고 했다"며 "오는 19일 국무회의 의결 후 추경안이 국회로 이송되는 만큼 빠르게 처리될 수 있게 협조해달라는 부탁이 있었다"고 전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오른쪽)은 17일 국회에서 김 원내대표를 만나 당정 일체와 함께 야당과의 협치를 주문했다. /남윤호 기자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실을 가장 먼저 찾아 '협치의 손'을 내밀었다. 그는 "지금 민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