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유정수 디자이너 /사진=유정수 디자이너 기술유출 범죄가 직원이 퇴사 후 경쟁사로 이직하며 기술을 빼돌리던 '개인 영리 추구형'에서 해외 본사가 국내 법인을 세워 핵심 인력 등을 직접 포섭하는 '침투형'으로 더욱 교묘해지고 있다. 수사기관들은 특별 단속 확대와 국제 공조 강화, 전문인력 양성 등을 골자로 한 범정부적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11일 검찰과 경찰에 따르면, 그간 기술유출 사건은 주로 국내 기업에서 퇴사한 연구원이 경쟁사에 취업하며 내부 자료를 가져가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외 본사가 직접 한국지사를 설립한 뒤 핵심 인력에게 고연봉·안정적 근무조건을 제시해 영업비밀을 빼돌리는 침투형 범죄가 두드러지는 추세다.중국 장성자동차(GWM)와 그 배터리 계열사 에스볼트(SVolt)가 국내 법인을 교두보로 삼아 삼성SDI·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기술을 유출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 사건의 핵심 피고인인 에스볼트 대표 석모씨는 국가정보원이 간첩을 수사하는 권한(대공수사권)을 상실해 국내 정보 수집 활동을 못하게 된 점을 악용, 국내 법인을 '기술유출 통로'로 이용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장성차 측에 보냈다. 이처럼 범죄 형태가 고도화하면서 국내 수사기관들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경찰청은 △해외 기술유출 특별 단속 확대 △수사 인프라 및 제도 개선 △국내외 관계기관 협력 강화 △피해신고 활성화 등을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서울경찰청·경기남부경찰청 산업기술안보수사대의 전담인력을 대폭 보강하고, 국정원·검찰·경찰 간 협조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중국 청두가오전 사건처럼 해외 정부가 기술유출에 관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외 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검찰 역시 범정부적 통합 대응 시스템을 마련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기술유출 사건은 유관기관·수사기관·기업 등이 합동으로 첩보 수집부터 증거 확보, 기술 분석, 수사·기소까지 원트랙(One-track)으로 신속히 처리할 체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 AFP=뉴스1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수 행진…개임스탑, 4700여개 매수전날 11만달러를 돌파한 비트코인(BTC)이 10만9000달러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사들이는 모습이다. 11일 오전 10시 20분 빗썸 기준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0.5% 오른 1억 5045만 9000원이다. 같은 시간 코인마켓캡 기준 해외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0.13% 내린 10만 9751달러를 기록했다.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사들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들들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트럼프가 지원하는 비트코인 채굴 기업 '아메리칸 비트코인'이 지난달 31일 비트코인 215개를 매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미국 최대 비디오게임 판매 브랜드인 게임스탑도 지난달 3일부터 이달 10일까지 비트코인 총 4710개를 매수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앞서 게임스탑은 비트코인 매입을 위해 13억달러 규모 전환사채를 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돈의 미래는 가상자산…그 중심엔 스테이블코인"돈의 미래는 가상자산에 있으며, 그 중심에 스테이블코인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10일(현지시간) '가상자산의 현황: 돈의 미래' 보고서를 내고 "비트코인 출시 16년 만에 가상자산이 돈의 미래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스테이블코인이 있다고 했다. 보고서에서는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임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다뤘다. 조사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할 계획이거나 관심이 있다고 답한 500대 기업의 수가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또 전 세계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1억 6100만명에 달한다는 통계도 발표됐다.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하원 농업위원회, 가상자산 시장구조 법안 통과미국 가상자산 시장구조 법안(CLARITY) 수정안이 미국 하원 농업위원회에서 찬성 47표, 반대 6표로 통과됐다. 1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가상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이른바 '클래리티' 법안이 농업위원회에서 과반수 이상 득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