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왼쪽), 박찬대 후보가 19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자가 첫 경선 지역인 충청권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지역 경선은 당원들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강성 당원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는 정 후보의 승리가 유력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최근 공개된 국민 여론조사에서 박찬대 당대표 후보자가 정 후보자를 1%p 차이로 추격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아직까진 최종 결과를 쉽게 단언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정청래 당대표 후보는 19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충청권 합동 연설회에서 득표 수 3만5142표, 득표율 62.77%를 기록해 박찬대 후보자를 제치고 승리했다.박찬대 후보자 득표 수는 2만846표, 득표율은 37.23%로, 정 후보와 박 후보 간 득표 수와 득표율 차이는 각각 1만4278표, 25.54%다.이날 충청권 합동 연설회에서는 대의원 선거인단과 국민 여론조사를 제외한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 결과만 발표했다.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수는 10만8802명, 유효 투표자 수는 5만5988명, 투표율은 51.46%였다.앞으로 예정된 권역별 합동 연설회 역시 당원 투표 결과만 공개한다. 대의원 선거인단과 국민 여론조사 개표 결과는 8월 2일 제2차 임시전국당원대회에 발표된다. 당대표 선거는 대의원 투표 15%, 권리당원 투표 55%, 국민 여론조사 30%를 적용한다.정청래 후보자는 이날 정견발표를 통해 "검찰·언론·사법 개혁을 폭풍처럼 몰아쳐 전광석화처럼 해치우겠다"며 "3개월 안에 개혁을 끝내고 개혁 고속도로에서 이재명 정부 자동차가 민생을 싣고 쌩쌩 달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이날 두 후보 간 득표 격차는 예상 밖이라는 평가다. 한국갤럽이 지난 15~17일 무선 전화면접 방식으로 민주당 지지층 대상으로 '민주당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2인 중 누가 당대표가 되는 것이 가장 19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한 (왼쪽부터)한성존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은식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연세세브란스병원 대표). /사진=홍효진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가 19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세 가지로 압축된 대정부 요구안을 확정했다. 요구안에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가 담겼다.이날 대전협 비대위는 임시대의원총회를 통해 이 같은 내용으로 요약된 3대 요구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5시쯤 시작된 총회는 6시간이 지난 밤 10시50분쯤 종료됐다. 해당 요구안은 참석 138단위(총 177단위) 중 찬성 124단위, 반대 8단위, 기권 6단위로 가결됐다.이날 비대위는 출범 이후 활동 관련 대의원회에 비대위 내부 주요 의결 사항, 인터뷰 목적 및 현황, 의료계 단체 회담, 정치권 접촉 등을 보고했다. 비대위 측은 "향후 활동에 있어 지역의 중증·핵심의료에 종사하던 전공의들이 최대한 수련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추후 지역의료가 발전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모아 토론회 등을 통해 전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대전협 비대위는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해 대한의사협회(의협),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등 유관 단체와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도 밝혔다. 지원자 부족으로 공석으로 유지되던 대구·경북 비대위의 경우 공석으로 남기되, 10인 체제에서 7인 이상이 찬성할 시 비대위 안건이 가결되는 형태를 유지하기로 했다.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상처받은 젊은 의사들이 다시 중증·핵심의료를 이어갈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신뢰 회복과 양질의 수련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총회에서 의결된 요구안을 향후 대화의 중심 의제로 삼고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무너진 의료 시스템을 재건하겠다"고
더불어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