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한국경제TV 김대연 기자]<앵커>삼성전자가 미국 마시

oreo

8

25-05-07 17:35

[한국경제TV 김대연 기자]<앵커>삼성전자가 미국 마시모 그룹의 오디오 사업부를 5천억 원에 인수합니다.수조 원대 '빅딜'은 아니지만,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복귀 이후 추가 M&A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산업부 김대연 기자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김 기자, 삼성전자가 명품 오디오 브랜드를 인수한 이유가 뭡니까?<기자>'오디오 명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겠다는 겁니다.지금 삼성전자 자회사인 하만 인터내셔널이 전장·오디오 사업을 맡고 있는데요.하만이 인수된 후 첫해인 지난 2017년에는 영업이익이 574억 원에 그쳤습니다.하지만 지난해 1조 3천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알짜 자회사로 거듭나는 중인데요.마시모사의 오디오 사업부를 인수해 컨슈머부터 카오디오 사업까지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삼성전자는 이번 거래를 통해 '바워스앤윌킨스(B&W)', '데논', '마란츠', '폴크'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대거 품었는데요.카오디오 사업에서 기존 하만카돈과 JBL, 마크레빈슨 등 외에도 B&W로 포트폴리오를 넓힐 수 있게 됐습니다.특히 컨슈머 오디오 시장은 올해 85조 원에서 오는 2029년 1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인데요.하만이 지난해 휴대용 오디오 시장에서도 점유율 60%로 1위를 기록했거든요.5천억 원으로 100조 원 시장까지 휩쓸겠다며 승부수를 던진 셈입니다.<앵커>삼성전자의 대규모 M&A가 8년 만이라고요? 그동안 왜 잠잠했던 겁니까?<기자>한마디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사법 리스크 때문입니다.이번 인수 전에 가장 규모가 컸던 M&A는 하만이었습니다.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1월에 하만을 9조 원에 인수했는데요.당시 이 회장이 등기이사가 되자마자 이뤄진 첫 대형 M&A로 주목받았습니다.그런데 이 회장이 경영권 부당승계 의혹 등 각종 사법 리스크에 발목이 잡혔죠.그동안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나 소규모 지분 투자는 꾸준히 이어지긴 했는데요.8년 동안 이렇다 할 만한 대형 M&A는 거의 없었습니다.공교롭게 이번 M&A도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소한 이후 체결됐죠.사실상 이 회장이 연달아 오디오 사업을 점찍은 겁니다.물론 9조 원과 5천억 원이라는 인수 금액만 비교하면, 빅딜로 보기는 어려운데요.경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참석해 합장하고 있다. 왼쪽 두번째는 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2025.5.5/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약 1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민 10명 중 6명은 '기후위기 대응'을 다음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는 여론 조사가 나왔다. 지난 총선에 이어 이번 대선에 드러난 '기후 유권자'들은 원전보다 재생에너지를 선호하고, 피해당사자의 정책 참여를 요구하며, 정부의 탄소중립 책임을 헌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일 기후정치바람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기후위기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정치바람은 정치권에서 기후 정책을 다루기를 요구하는 의미에서 로컬에너지랩과 녹색전환연구소, 더가능연구소 등이 연대한 싱크탱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8세 이상 시민 4482명 중 62.3%는 '향후 출범할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의 57.0%는 기후위기 대응 전담 부처를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봤다.헌법 개정을 통해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 책임을 명시해야 한다는 응답도 60.4%에 달했다. 국회 입법과정에 청소년과 아동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은 74.9%로 나타났다.'기후 시민'의 존재가 더욱 뚜렷해졌다는 게 기후정치바람 주장이다. 기후위기를 인식하고 대응을 실천하며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시민은 전체의 50.9%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민주주의 원칙을 중시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기후민주시민'은 36.0%였다. 특히 여성과 60대 남성, 호남 지역에서 이 같은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후민주시민은 기후위기의 피해자이자 정책 결정에 목소리를 낼 권리를 가진 주체"라며 "이들은 더 이상 수용자가 아니라 정부 정책을 움직이는 힘"이라고 주장했다.기후위기의 체감도도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64.7%는 지난 1년간 폭염을 앓았으며 가뭄과산불, 홍수를 경험한 시민은 각각 19.6%, 16.9%, 15.7%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