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성북구 고려
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열린 고려대 개교 12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전 피겨스케이트 선수 김연아가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려대가 5일 고려중앙학원, 고려대 교우회와 함께 서울시 성북구 고려대 서울캠퍼스에서 개교 12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2040 비전을 발표했다. 고려대는 2040 비전으로 △2040년까지 연구 경쟁력 세계 20위권 진입 △혁신적 글로벌 교육 모델 구현 △창업 및 산학연 협력 생태계 강화 △재정 확보 다각화 및 연구·교육 투자 확대 등을 제시했다.김재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은 기념사에서 “고려대는 민족과 국가를 넘어 인류 미래에 공헌하는 ‘세상에 없어서는 안 될 대학’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대학 본연의 사명인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고려대 구성원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개교 120주년을 맞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에 공헌하는 대학으로 한 차원 더 높게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5일 고려대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개교 120주년 기념식에 김동원 고려대 총장, 김연아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 등이 참석해 있다. [사진=고려대학교] 이날 행사에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김연아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체육교육 09)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축사를 통해 “고려대는 오늘 ‘쇼트 프로그램’을 마치고 ‘프리 스케이팅’을 시작한다. 고려대의 더 높은 점프를 응원해달라”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오세훈 서울시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축하 영상도 상영됐다.자랑스러운 고대인상은 박기석 시공테크 회장, 허구연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이 수상했다. 경북 의성군의 대형 산불 사흘째인 2025년 3월 24일 의성군 옥산면 입암리의 한 마을에 산불이 옮겨붙었다. 연합뉴스 2025년 봄 경북 의성·경남 산청 등지에서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산림청이 지속해온 숲 가꾸기와 임도 확장이 오히려 빠른 산불 확산의 원인이 된다는 지적이 거세다. 2005년 강원 양양 낙산사부터 2022년 강릉 옥계, 2023년 강릉 경포대까지 많은 대형 산불에 맞섰던 이강우 강원 원주소방서장이 한겨레21에 글을 보내왔다. —편집자2025년 3월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은 3월27일 강한 바람을 타고 12시간 만에 영덕 바닷가에 도달했다.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다섯 개 시·군에 동시다발 화재를 일으켜 사망 27명, 피해면적 10만4천㏊, 주택 4354채를 비롯한 8792동의 시설 피해로 해방 이후 최대 규모의 산불 참사를 기록했다.최근 15년간 산불 발생 추이를 보면, 2020년대는 2010년대보다 산불피해 면적이 7.8배 증가하고, 대형산불의 횟수 또한 3.7배 늘어났다. 통계적으로 확연하게 대형산불이 늘어나고 있다. 2024년 산림청 산불통계연보를 보면, 평균 산불 면적 역시 2010년대 857㏊(연평균 대형 산불 1.3건)에서 최근 4년간(2020~2024년) 6720㏊(4.8건)로 증가했다.15년 동안 산불 피해 면적 7.8배로 늘어나대형산불은 민가와 시설물 피해를 대규모로 동반하는데, 2019년 강원 속초·고성에서 1672동, 같은 해 강릉·동해에서 228동, 2022년 강릉·동해에서 407동, 2023년 강릉 경포에서 566동의 주택과 시설물이 소실됐다. 산불이 산림만을 태우는 것이 아니라 산 주위의 마을과 도시에 연속적인 화재를 일으키고 있다. 이번 의성~영덕 산불에서는 그 피해가 대규모로 늘어 시설물 8792동이 화재로 소실됐다. 이 현상을 어떻게 산불이라는 단어로 설명할 것인가. 현실은 산불을 넘어 국가적 재난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대형산불 횟수, 피해면적, 주민 피해, 사망자의 폭발적 증가는 그간의 대책들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 재난을 바라보는 관점과 대책을 하나하나 재점검할 것을 요구한다.관점 전환을 위
5일 서울 성북구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