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노인복지관에 부착돼 있는 일자리 안내문. 연합뉴스 [서울경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고령층 일자리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연금 소득을 보완하기 위해 은퇴 후 재취업에 나서지만 기존 경력과 무관한 저임금 일자리에 취업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국회예산정책처가 27일 발간한 ‘인구·고용동향 &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고용률은
3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3.6%)의 세 배 수준에 달했다. 이는 대표적 고령화 국가인 일본(25.3%)보다도 1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보고서는 우리나라 고령층이 부족한 연금 소득을 보완하기 위해 일자리 전선에 뛰어드는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65세 이상 연금 소득자의 월평균 연금 소득은 80만 원 가량으로, 이는 2024년 1인 가구 월 최저 생계비인 134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은퇴 노인들이 이 같은 연금 소득과 최저 생계비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 재취업에 나서면서 고용률이 높아졌다는 게 보고서의 진단이다.다만 높은 고용률과는 별개로 노인들이 실제로 일하는 일자리는 고용 형태·업종·임금 수준 등 여러 측면에서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임금근로자 중 61.2%는 비정규직이었다. 취업자 중 절반가량인 49.4%는 10인 미만 영세 사업체에서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 유형별로 보면 단순 노무직의 비중이 35.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기계 조작원(15.0%)이었다. 대부분의 고령 근로자들이 경력과 무관한 저숙련·육체 단순노동에 종사하고 있다는 의미다. 사진=NABO 인구·고용동향 & 이슈 캡처 일자리 질의 악화는 임금의 급격한 저하로 이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년 이전인 50대 후반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50만9000원이었다. 반면 은퇴 이후 재취업하는 연령대인 60대 초반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78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50대 후반과 비교하면 20.5% 낮은 수준이다.보고서는 이 같은 고령층 고용 구조가 ‘경력 단절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생애 주된 일자리를 떠난 뒤 재취업한 65세 이상 임금근로자 중 현재 일자리가 생애 주된 일자리와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 = 28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수원 ITS 아태총회'에서 관람객들이 VR존을 체험하고 있다. ITS 아태총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간 정책과 기술을 공유하고, 민관 협력과 기업 간 교류를 확대하는 국제 협력의 장이다. 2025.05.28. jtk@newsis.com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도로 위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된다는 게 실감나네요."28일 오전 11시께 수원컨벤션센터 1층 전시장은 수십 개의 첨단 기술 부스와 관람객들로 붐볐다. 드론이 허공을 가르고 자율주행 차량이 체험존에서 미래 기술을 보여주는 가운데 각종 교통 통제와 안전 시스템이 방문객들의 눈길을 잡아끌었다. 부스를 둘러싼 시민들은 스마트폰을 꺼내 연신 사진을 찍으며 '지능형교통체계(ITS)의 현재'를 경험했다. 특히 해외 기술 대표단과 참가자들은 물론 국내 중·고등학생들도 전시장을 찾아와 부스 곳곳을 둘러보며 기업 관계자들에게 쉴 새 없이 질문을 던지고 ITS 기술을 체험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였다.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자 로봇이 알아서 차를 주차공간으로 옮겼다. 사람 손 하나 거치지 않고 차가 움직이는 이색 광경에 시민들은 감탄사를 연발했다. "정말 영화에서만 보던 미래가 눈앞에 펼쳐지네요"라는 해외 참가자의 말처럼 관람객들은 마치 미래 도시 한가운데 서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교통사고 안전띠 체험관'에선 차량 충돌 시뮬레이터가 설치돼 체험객들이 직접 차량 내 충돌 순간을 경험하며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차에서 내린 한 고등학생은 "벨트를 안 맸으면 정말 큰일 날 뻔했어요"라며
"앞으론 꼭 착용해야겠어요"라고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또 다른 전시장에선 '스마트 횡단보도 체험존'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발광다이오드(LED) 바닥 유도등, 음성 안내,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까지 갖춘 체험 구간은 실제 보행자의 위치와 신호 대기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안내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전시 관계자는 "어르신이나 어린이, 장애인 등 교통약자도 걱정 없이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