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정, 정초하 기자]▲ 성폭력, 여성혐오 등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3차 TV토론 발언 다음날인 28일 오전, 서울역을 찾은 시민들이 TV 화면 속 이 후보를 바라보고 있다.ⓒ 정초하 "가장 처음 들었던 감정은 충격이었어요. 이걸 보고 있는 모든 시청자들, 특히 여성 시청자들한테 너무나 잊을 수 없는 모욕감을 불러일으키는 발언이었어요." - 송수진(21·여성·대학생) "개인적으로 현실적 선택을 한다고 생각해서 (이준석 후보를) 지지해요. 하지만 예민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해요. 조금 아쉬웠어요. 꼭 그 자리에서 그 발언을 그대로 인용했어야 했나..." - 박수연(30·여성·여의도 직장인)유세를 보러 온 지지자도 마냥 감싸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마지막 TV토론 다음날이자 사전투표 전날인 28일, 여의도공원·신촌 대학가·서울역에서 만난 시민들은 이 후보가 TV토론에서 내뱉은 성폭력·여성혐오적 발언을 강하게 질타했다. 특히 여의도공원은 이 후보가 직장인을 겨냥해 이날 유세 장소로 택한 곳인데 이곳에서마저 쓴소리가 쏟아졌다.[여의도공원] "가족끼리 보다 TV껐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에서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던 중, 한 시민이 전날 TV토론에서의 이 후보 발언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소중한 점심시간 이 후보의 유세 현장 인근에서 만난 직장인 조아무개(34, 여성)씨는 "(이 후보의 발언은) 여성혐오가 맞다"라며 "커뮤니티의 글을 팩트체크 없이 가져와서 공격의 무기로 썼는데 본인 수준 드러내는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더해 "공중파, 그것도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그런 발언을 거르지 않고 할 수 있다는 후보자의 인식에 대해 되게 놀랐다"라며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옆에 있던 김아무개(31, 여성)씨 또한 "어쨌든 2030 여성도 자기 표일텐데 왜 다 포기한 발언을 했는지 모르겠다"며 공감했다. 인근에서 만난 이승훈(47, 남성)씨는 이 후보의 발언을 본인이 언급하는 것조차 주저했다. 그는 "혐오적이고 (여성들이) 수치를 느꼈을 법한 언어폭력"이라고 말했다.이아무개씨(40, 여성)도 "여성으로서 그 말을 듣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서울시가 사회 계층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소셜믹스’가 서울 재건축·재개발 조합들과 잇따라 갈등을 빚으며 정비사업 추진의 돌발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소셜믹스 정책에 부딪히며 주택공급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데다 최근 소셜믹스를 받아들이지 못하겠다며 현금 기부채납으로 해결한 사례까지 나오고 있어서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서울시 ‘한강변·로열층 임대’ 방침…조합들 “역차별·재산권침해”소셜믹스는 재건축, 재개발시 아파트 단지 내에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을 섞어 배치하는 정책이다. 앞서 서울시는 2021년 서울 내 모든 재개발, 재건축 단지에 소셜믹스 의무화를 도입한 바 있다. 도입 당시 한 단지 내에 별도의 임대 동을 뒀으나 특정 동 거주자를 차별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논란이 생기자 2022년부터는 임대가구와 분양가구 간 어떠한 구분도 할 수 없도록 완전혼합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그런데 최근 재건축·재개발이 활성화하면서 소셜믹스를 요구하는 서울시에 재산권 침해라른 반발이 잇따라 제기됐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안건이 서울시에서 보류됐는데 재건축 조합이 한강변에 인접한 4개 동에 임대주택을 배치하지 않은 것이 소셜믹스 원칙에 어긋났다며 서울시가 조합측에 재검토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조합원들 사이에선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영등포구 여의도동 공작아파트는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을 구분하지 않고 공개 추첨하는 방식으로 동·호수를 배정하라는 서울시 요구로 갈등을 빚고 있다. 공작아파트에선 서울시 방침에 반발해 ‘소유주가 손해 보는 재건축이 웬말이냐’라고 쓰인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다.한 재건축조합 관계자는 “조합이 수년간 정비사업에 공을 들이는 데에도 고층·한강 조망 가구까지 추첨으로 넘기라는 것은 역차별”이라며 “시의 지침을 따르면 선호 동에 대한 조합원, 일반물량이 줄어들텐데 이는 재산권 침해”라고 지적했다. 서울 한강변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벌금내고 소셜믹스 회피 사례도…“주택공급난 해결 시급”서울시 지침을 수용하지 못하고 소셜믹스 대신 추가 기부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