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I know, you're probably thinki

oreo

2

25-05-23 08:45

I know, you're probably thinki I know, you're probably thinking: I don't know how to build a dam, or get a million people involved in anything.<함께 읽으면 좋은 글>All Rights Reserved.진정한 행복은 목적의식에서 비롯된다.First, let's take on big meaningful projects. More than 300, 000 people worked to put a man on the moon.Now it's our turn to do great things.They only become clear as you work on them.'나는 그런 거 못해'라고 미리 선을 긋기보다 조금이라도 할 수 있다면 작게라도 도전해 보면 좋겠어요. 어렵다고 쉽게 관두지 말고 눈에 띄는 성과가 없더라도 꾸준히 해 보려고 노력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고요. 오늘도 귀한 시간 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한 마디로내가 왜 이 자리에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 확신이 있다면 우리는 진짜 행복해지는 길 위에 있다는 말인데요. Speech 2에서는어떻게 하면 모든 사람이 그런 목적의식을 갖고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해 세 가지 해법을 제시하고 있네요.Millions of more people built the Hoover Dam and other great projects.하버드대학교 졸업식 축사-2But let me tell you a secret: No one does when they begin.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압니다. 여러분은 아마도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저는 댐을 어떻게 건설하는지 모르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어떻게 동원시킬 수 있는지도 몰라요."오늘도 영어 한걸음아이디어라는 것은 완성된 상태로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Ideas don't come out fully formed.Purpose is what creates true happiness.Today I want to talk about three ways to create a world where everyone has a sense of purpose:by taking onbig meaningful projects together,by redefiningequality so eveyone has the freedom to pursue purpose, andby buildingcommunity across the world.PC(정치적 올바름)를 강요하지 않는 디즈니는 이렇게 뭉클하다. 파란 외계 악동 스티치가 당돌한 꼬마 릴로의 손을 잡고 돌아왔다. 동명의 애니메이션(2002)을 실사로 만든 ‘릴로&스티치’는 고압적인 가르침으로 팽만하던 디즈니의 실패를 걷어찼다. 특정 인종을 강조하지 않는다. 어색한 성별 전환도 없다. 서로를 아끼고 위하는 따스함만 전한다. 디즈니 실사 영화 '릴로&스티치'에서 외계 악동 스티치(왼쪽)는 하와이 꼬마 릴로를 만나 가족의 사랑을 알게 된다. 두 캐릭터의 매력은 '릴로&스티치'를 이번 주 북미 흥행 1위에 올려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사랑스러운 악동, PC 없는 디즈니의 매력 살려‘릴로&스티치’는 하와이에 불시착한 스티치와 여섯 살 소녀 릴로(마이아 케알로하)가 ‘작고 망가졌지만 소중한’ 가족이 되는 이야기다. 스티치는 외계의 괴짜 박사가 일부러 선한 면을 빼고 만든 불법 유전자 실험체. 이름도 없이 ‘실험체 626’으로만 불렸다. 심술쟁이 말썽꾸러기에 식탐이 엄청나고 눈에 보이는 건 뭐든 망가뜨린다. 교통 사고로 부모를 잃고 언니와 단둘이 남겨진 릴로는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한다. 외로운 릴로 앞에 나타난 ‘실험체 626’에게 릴로는 스티치라는 이름을 지어준다.여느 디즈니 영화처럼 이야기는 매우 익숙하다. ‘릴로&스티치’의 매력은 익숙한 이야기를 사랑스럽게 이어가는 두 주인공에게서 나온다. 두 귀를 쫑긋 세운 스티치가 릴로와 얼굴을 맞대고 웃으면 귀여움이 폭발한다. 실제로 하와이 출신인 아역 배우 마이아 케알로하는 원작 애니에선 보기 어려웠던 생기로 관객을 사로잡는다. 스티치를 동물보호센터에서 만났을 때 환호하며 지르는 탄성, 처음 포옹했을 때의 따뜻한 미소가 화면을 환하게 밝힌다. 코알라와 강아지, 토끼와 아기곰을 합해 놓은 스티치의 모습은 어린이 관객과 예전 애니 팬 모두를 만족시킬 듯 하다. 2D 애니에선 못 느꼈던 스티치의 솜털도 만져질 듯 보송보송하다.서로를 통해 진정한 자신을 발견한다는 보편적 스토리도 살아있다. 장난만 칠 줄 알던 스티치는 “너는 실험체 626”이라며 끌고 가려는 괴짜 박사에게 “나는 스티치”라며 맞선다. 릴로를 알기 전에는 볼 수 없던 모습이다. 외롭던 릴로는 스티치를 구하기 위해 과감한 모험을 결심한다.둘의 에너지에 섞여 디즈니의 고전적 메시지가 I know, you're probably thinki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