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가 1

oreo

4

25-05-23 11:57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를 찾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이 후보와 포옹하고 있다. 2025.5.19/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박소은 기자 =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는 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대통령 후보 간 단일화 가능성을 두고 "제 예상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저는 단일화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허 전 대표는 BBS 라디오 '신인규의 아침저널'에서 "이 후보의 어제(22일) 기자회견을 보면 단일화를 부인은 했는데 '절대 안 한다'는 말로 저는 들리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이 후보가 여러 차례 본인 말들 뒤집고 그런 것이 많았다. 제가 직접 경험한 사람으로서 말에 대한 신뢰를 갖기가 어렵다"며 "기존에 안철수 후보 같은 경우도 단일화 안 한다고 그랬다가 사전선거 전날 (그랬던 선례가 있다)"고 했다.이어 "기자가 '이 약속을 어기고 단일화하면 국회의원직 사퇴하겠냐'고 질문했는데 뒤에 모욕적이라는 말까지 했다"며 "답을 피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본인의 생각이 조금 들통이 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그러면서 지난해 초 이낙연 전 총리가 이끄는 새로운 미래 등과 개혁신당 간 합당 당시 "합당을 한다고 발표하는 그 아침까지만 해도 합당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 부분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러 소통관 앞까지 갔다. 점심시간이라 기자들이 없다고 하면서 양향자 전 의원실에 잠시 모여있었는데, 거기서 회의하다가 합당 결정을 내렸다"며 "입장이 늘 바뀌는 분이기 때문에 확답보다 기사화 시키는 것에 가장 신경을 쓰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허 전 대표는 이동훈 개혁신당 공보단장이 '친윤(親윤석열)계로부터 차기 당권을 대가로 후보 단일화에 동참하라는 제안을 받았다'는 내용을 공개한 것을 두고는 "기선 제압 중 하나이고 몸값 키우기"라고 평가했다.그는 "어제 기자회견을 보니 이 후보는 자기는 모르는 일이라고 또 빠지더라. 물밑으로는 논의와 협상이 진행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허 전 대표는 이날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에도 출연해 "지금까지 봐온 이준석 대표는 진짜로 하기 싫으면 무반응이다. 제가 토론하자고 몇 달째 요청하는데 반응이 없고 무시 전략을 편다"며 "저런 경남 하동에서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농장 견학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하동군청 제공 하동=박영수·곡성=김대우·문경=박천학·홍천=이성현 기자소멸위기에 놓인 지방자치단체들이 귀농·귀촌인 유치와 생활인구 유입을 위해 도입한 ‘농촌 살아보기’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체류형 프로그램을 경험한 참가자가 지역에 정착한 사례도 많아 인구 유입과 지역 알리기 역할을 톡톡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경남 하동군은 예비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지난 3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회당 10명씩 ‘하동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기 경쟁률이 4.5대 1을 기록했는데 2∼4기도 서울·경기·부산 등에서 지원자가 몰려 1.3∼1.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외지 참가자들이 4박 5일간 하동에 머물며 귀농·귀촌 교육, 농장·농가 탐방, 귀농 선배와의 만남 등 하동으로의 귀촌·귀농에 더 깊게 다가가는 사업이다. 군은 매년 참가자들에게 무료 숙박과 식비·체험비를 제공하고 자신의 특성에 맞는 귀농·귀촌 지역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특히 참가자들이 귀농 후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녹차, 딸기 등 하동의 농특산물 가공·유통산업도 집중 소개하고 있다. 이 사업 참여자 중 지난해 2명, 올해 3명이 하동에 정착했다.2019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시작한 전남도도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이 사업은 도시민이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2∼6개월간 농촌에 거주하며 농촌문화를 이해하고, 마을 주민과 상호 교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말까지 2778명이 참여해 16.7%(464명)가 전남에 정착(주소지 이전)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도 18개 시군 31개 마을에서 3개월 단위로 총 3차례(345가구 428명) 이 사업을 진행 중인데, 지난 2월 1차 모집(123가구 155명) 때 평균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섬진강을 끼고 있는 전남 곡성군의 경우 3개 마을에서 14명을 모집하는 데 46명이 지원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경북 문경시가 운영하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도 지난 3월부터 2개월 동안 운영한 올해 1기 참가자 모집(6명)에서 20명이 신청해 3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보였다. 경북도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