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치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고객이 라면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수출로 재기에 성공한 ‘불닭’ 삼양식품과 수출 기회에 올라타려는 ‘신라면’ 농심의 2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삼양식품은 글로벌 인기에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고, 농심은 미국·중국 등 수출 지역에서 늘어난 판촉비와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 다만 하반기에는 내수도 해외 시장도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두 회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진격의 삼양, 고심하는 농심 삼양식품은 올해도 불닭 효과를 톡톡히 맛보며 반기 기준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회사는 2분기 매출(연결기준) 535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3% 늘었고, 영업이익은 34.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2.4%다.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1조821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25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8% 성장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수출 최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 매출이 증가한 데다 유럽 법인도 성장세에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농심은 매출은 소폭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줄었다. 농심의 2분기 매출은 8677억원으로 0.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늘어난 1조7608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962억원으로 8.4% 줄었다. 농심 관계자는 “수출이 소폭 늘긴 했지만 해외 판촉비와 관세 여파,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페루 신라면 분식 1호점, 이탈리아 베네치아 광고 등의 마케팅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해외 매출과 이익 모두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내수는 가격 압박 지난 2월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열린 '식품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과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자리했다. 연합뉴스 하반기도 내수는 전망이 어둡다. 최근 국내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 자제’를 넘어 ‘인하 압박’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와 농림축산식품부·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주요 식품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물가 안정에 동참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고객이 라면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수출로 재기에 성공한 ‘불닭’ 삼양식품과 수출 기회에 올라타려는 ‘신라면’ 농심의 2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삼양식품은 글로벌 인기에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고, 농심은 미국·중국 등 수출 지역에서 늘어난 판촉비와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 다만 하반기에는 내수도 해외 시장도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두 회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진격의 삼양, 고심하는 농심 삼양식품은 올해도 불닭 효과를 톡톡히 맛보며 반기 기준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회사는 2분기 매출(연결기준) 535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3% 늘었고, 영업이익은 34.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2.4%다.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1조821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25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8% 성장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수출 최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 매출이 증가한 데다 유럽 법인도 성장세에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농심은 매출은 소폭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줄었다. 농심의 2분기 매출은 8677억원으로 0.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늘어난 1조7608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962억원으로 8.4% 줄었다. 농심 관계자는 “수출이 소폭 늘긴 했지만 해외 판촉비와 관세 여파,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페루 신라면 분식 1호점, 이탈리아 베네치아 광고 등의 마케팅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해외 매출과 이익 모두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내수는 가격 압박 지난 2월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열린 '식품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과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자리했다. 연합뉴스 하반기도 내수는 전망이 어둡다. 최근 국내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 자제’를 넘어 ‘인하 압박’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와 농림축산식품부·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주요 식품업체
동두천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