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치과
[박정연 기자]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에서 무력 충돌을 벌인 지 불과 한 달여 만에, 태국 정부가 새 대변인을 임명하면서 '미모 비교' 발언을 내놓아 논란이 되고 있다. 피해자들이 여전히 귀향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이 발언과, 이를 소비하는 국내 언론 보도 태도에 비판이 쏟아진다.11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 등에 따르면 나타폰 나크파닛 태국 국방부 차관 겸 장관 대행은 지난 8일 '국경 상황 대응센터'의 새로운 대변인으로 붐 파나다 웡푸디(49)를 임명했다.파나다는 2000년 미스 태국 출신으로, 미국과 호주에서 경영학과 국제경영학, 경영철학을 전공했으며 배우, 인플루언서, 사회운동가로 활동해왔다. 태국 상원 경제·상무·산업위원회 고문 경력도 있다.그런데 나타폰 차관은 인선 이유를 설명하면서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 인 말리 소지아타 중장과 경쟁하기 위해서"라며, "적어도 현재로서 파나다 대변인의 장점은 확실한데, 그건 캄보디아 대변인보다 훨씬 아름답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은 미스 캄보디아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전쟁의 상처 위에 '미모 비교'라니태국과 캄보디아간 국경을 둘러싼 무력 충돌은 최소 43명의 사망자와 수백여 명 부상자를 냈고, 수만 명의 난민들이 여전히 전쟁 재발의 공포 속에 귀향하지 못하고 있다. 포화가 멎은 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위 군 관계자가 '미모 경쟁'이라는 표현을 공식 석상에서 내놓은 것은 전쟁 피해자들의 고통을 가볍게 여기는 발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군 대변인은 갈등 상황에서 정부 입장을 대외적으로 전달하고 사실을 알리는 공식 창구다. 이 직책의 무게를 감안하면, 상대국 대변인의 외모를 비교하는 발언은 성차별적일 뿐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부적절하다.캄보디아 현지 언론은 침묵… 그러나 여론은 불쾌캄보디아 주요 언론은 이번 발언을 직접적으로 보도하지 않고 있다. 국경 폐쇄 조치 이후 태국 영화·TV 콘텐츠 방영을 금지한 상태이고, 지난달 말 양국간 무력 충돌 직후에는 정부가 <방콕포스트> 등 태국 주요 언론사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했기에 직접 태국발 뉴스를 접한 캄보디아 국민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한국발 인터넷 뉴스 기사를 통해 관련 소식을 들은 일부 작년 8월 중국 하얼빈을 방문한 시미즈 히데오 씨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인간 생체실험을 했던 일본 731부대 출신 시미즈 히데오(95) 씨의 증언 활동에 대해 일부 일본 누리꾼들이 '날조'라고 주장하며 비방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13일 보도했다.시미즈 씨는 일제가 전쟁에서 패하기 반년 전쯤인 1945년 3월 중국 하얼빈에 도착했고, 그해 7월 표본실에서 생체실험 대상자의 신체 일부를 목격했다.패전 이후 귀국해 건축사 자격을 얻은 그는 오랫동안 731부대원이었다는 사실을 숨긴 채 살았다. 그러다 종전 70년이었던 2015년 731부대 관련 전시를 우연히 본 뒤 부인에게 감춰왔던 이력을 털어놨다.이를 계기로 그는 강연 활동을 하고 언론 취재에도 응했다. 작년에는 하얼빈 만행 현장을 방문해 "무모한 일을 저지르고 폐를 끼쳤다"며 참회했다.시미즈 씨는 이날 보도된 지지통신 인터뷰에서도 "해서는 안 될 일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것이 전쟁의 광기"라며 731부대가 했던 비인도적 행위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증언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시미즈 씨는 이처럼 가슴속에 봉인해 뒀던 기억을 대중과 공유하면서 마음의 짐을 조금은 덜게 됐다고 아사히는 전했다.하지만 누리꾼들은 시미즈 씨의 731부대 관련 증언·참회 활동에 대해 "인체 실험은 날조다", "거짓말하고 있다"며 공격했다. 중국 방문 이후에도 온라인에서 "노망난 늙은이"라는 원색적 비난을 접했다.이와 관련해 아사히는 일본 정부가 731부대의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생체실험 등 활동 내용에 관해서는 "자료가 없다"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올해 3월 국회에서 731부대의 가해 행위가 논의됐을 때 "(사실을 검증할) 수단이 역사와 함께 사라졌다"고 말했다.아사히는 종전 80년이 되면서 전쟁을 아는 세대가 차츰 사회에서 없어지는 '체험자 없는 전후(戰後)'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고 짚었다.한편, 후쿠다 야스오 전 총리는 아사히와 인터뷰에서 지금 정치인들이 해야 할 일은 '전쟁해야 한
동두천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