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28일 오전 서울의

oreo

8

25-06-23 06:46

28일 오전 서울의 28일 오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일요일 정상영업’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4.1.2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최근 정치권이 대형마트에 대한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실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업계에선 아직은 실현 가능성이 적고, 실현된다 해도 실질적인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혁신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지난 18일 코스피 시장에서 롯데쇼핑은 7만 4400원에 마감했다. 최근 1년 내 최고점이었던 지난 9일(8만 3100원)보다 10.5% 하락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이마트 주가도 9만 600원에서 8만 2100원으로 9.4% 내리는 등 대형마트 업종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이들 회사 주가는 현 정부 출범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에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 10일 더불어민주당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대두되자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급락세로 돌아섰다.2013년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는 월 2회 공휴일에 쉬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다만 지방자치단체 재량에 따라 공휴일이 아닌 평일에 쉴 수도 있다. 지난해 오세희·송재봉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이 재량권을 없애고, 의무휴업일을 공휴일 중에서만 지정한다는 내용이다.다만 민주당 내에서도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많은 만큼 여당이 적극적으로 추진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실제로 민주당의 법안 추진 가능성이 보도되자 같은 당 전용기·장철민 의원은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대형마트 의무휴업 관련 공약은 하지 않았다. 서울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2022.10.31/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업계에선 혹시나 의무휴업일이 공휴일로 지정된다 해도 실질적인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현재 이마트는 전체 점포 155개 중 40%(63개), 롯데마트는 111개 중 35%(39개)가 지자체와 협의에 따라 평일에 의무휴업을 하고 있다.한화투자증권은 만약 이 점포들의 의무휴업일이 모두 일요일로 바뀔 경우 이마트는 기존 매출의 0.8%, 롯데마트는 0.6%가 줄어들 것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2일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미국에 입국한 뒤 취재진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간 관세 협상이 본궤도에 오른다. “새 정부의 철학을 협상에 반영하겠다”고 22일(현지시간) 미국을 찾은 한국의 통상 당국 수장이 밝혔다.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미국에 입국한 뒤 취재진과 만나 “(전임 정부로부터) 인수인계를 잘 받았다”며 “실무 단계에서 기술적 협상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 정부 차원의 큰 전략과 철학을 반영하는 게 (더) 중요하다. 그런 차원에서 이제 좀 새롭게 시작한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이 미국을 필요로 하는 만큼 미국도 한국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많다”며 “그런 부분에서 최대한 윈윈하는, 상호호혜적 결과를 얻는 데 집중하려 한다”고 덧붙였다.“미국도 한국 필요, 실용적 접근”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통상 협상을 위해 정부 고위급 당국자가 미국을 찾은 것은 여 본부장이 처음이다. 그는 일주일간 머물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미 장관급 인사뿐 아니라 백악관 고위 당국자, 연방의회 의원, 싱크탱크, 업계 관계자 등을 두루 만나 새 정부 국정 철학과 한미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최대한 부각하면서 우군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여 본부장은 “국제 정세도 그렇고 우리 기업 어려움도 그렇고 굉장히 엄중한 상황인 만큼 이번 방미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 실용주의 측면에서 협상에 집중하려 한다”고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발효일인 같은 달 9일 중국을 뺀 모든 국가와의 무역 협상을 위해 관세 효력을 7월 8일까지 90일간 유예했다. 한국은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 장관급 회담을 1차례, 실무급 회담(기술 협의)을 2차례 진행했다. 이번 여 본부장 방미 기간 중에는 3차 기술 협의(24~26일)가 열린다. 유예 시한까지 2주 남짓밖에 남지 않았지만, 미국 요구 청취 정도밖에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는 게 여러 소식통 얘기다. 유예 기간이 끝나면 트럼프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관세를 정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물리적으로 협상을 타결하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지만 여 28일 오전 서울의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