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백악관은 12일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이후 첫 무역 협상에서 큰 폭의 관세 인하에 합의한 것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위한 역사적인 무역 승리(historic trade win)를 달성했다”고 자평했다. 백악관은 이날 오전 미·중이 상대에 부과한 115% 보복 관세를 인하하기로 한 내용의 합의안을 언급하며 “미 무역 합의는 미국의 승리며, 트럼프가 미국 국민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를 끌어내는 데 있어 무적의 전문성(unparalleled expertise)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앞서 중국에 부과한 10% 기본 관세, 지난 2~3월 펜타닐 반입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 추가 관세는 유지된다.백악관은 이날 10% 기본 관세를 유지하기로 한 것을 언급하며 “(10% 관세는) 국내 생산을 장려하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미국의 무역 정책이 우리 노동자를 우선 지원하도록 보장하는 공정한 기준을 유지한다” “이전 행정부와 달리 트럼프는 미국 이익을 보호하고 불공정 무역 관행을 중단하기 위해 중국에 대해 강경하고 타협 없는 입장을 취했다”고 했다. 이어 “양국은 무역과 경제에 관한 중요한 논의를 지속하기 위해 협의체를 설립하기로 했다”며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며 미국 노동자와 농민, 기업에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중국에 대한 미국의 상품 무역 적자는 2954억 달러(약 430조원) 수준이었다.백악관은 “미·중이 중국에서 북미의 불법 마약 제조업체로 유입되는 펜타닐과 기타 전구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는 지난 2월 1일 중국·멕시코에 고율(高率)의 관세 부과를 결정하며 그 배경으로 ‘좀비 마약’이라 불리는 펜타닐의 유입을 유독 강조했다. 이는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의 일종으로 헤로인보다 50배나 강력하다. 미국에선 펜타닐 과다복용으로 2022년에만 약 11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18~49세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했다. 중국 기업들이 펜타닐 생산에 필요한 화학 원료를 멕시코의 마약 밀매 조직에 공급하고, 여기서 생산된 펜타닐이 국경을 넘어 미국에 유통된다는 게 미국 정부의 판단이다. 이 때문에 펜타닐은 수년간 미·중 관계에서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송정훈 기자]부천문화재단이 야심차게 추진 중인 까치울역 카페거리 '문화상권 프로젝트'가 다채로운 문화 예술 프로그램으로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주디갤러리를 중심으로 펼쳐진 거리 갤러리와 각종 체험 행사가 시민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성공적인 항해를 이어가고 있다. 부천문화재단과 주디갤러리가 선보인 거리 갤러리는 김창섭, 김용모, 조춘제, 염동기, 류제봉,이사설 등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개성 넘치는 작품들로 카페거리를 특별한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 거리갤러리전시작품ⓒ 송정훈기자 시민들은 커피 한 잔의 여유와 함께 수준 높은 예술 작품을 감상하며 일상 속에서 문화적인 즐거움을 만끽했다. 예상치 못한 곳에서 만나는 예술 작품은 시민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10일, 카페거리 일대는 더욱 다채로운 문화 향기로 가득 찼다. 감미로운 선율의 버스킹 공연은 걷는 이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으며, 김평연 작가의 재치 넘치는 캐리커처 체험은 참여자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물했다. 특히 주디갤러리가 주관한 여이스튜디오 황재연 작가의 머그컵 체험 행사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담은 머그컵을 제작해보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 까치울 문화거리프로젝트에10일 열린 체험행사ⓒ 송정훈 올해로 2년째 진행되고 있는 '숍인숍' 프로그램은 카페 거리의 개성 있는 상점들과 지역 예술가들의 창의적인 협업을 통해 더욱 풍성한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카페를 방문한 시민들은 음료를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때로는 구매까지 이어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다. 이는 침체된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예술가들에게는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하며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는 평가다. ▲ 부천문화재단숍인숍 프로젝트ⓒ 송정훈기자 부천문화재단 한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