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시티
멕시코시티 대형병원과 협의하는 강덕수 회장(오른쪽 3번째) ['사랑의 손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멕시코 교민들이 수백∼수천 명씩 모인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들에는 외국살이하며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거나 크고 작은 문제의 해결책을 주고받으려는 글들이 하루에도 몇 개씩 올라온다.그중 가장 눈에 많이 띄는 주제는 단연 병마와 관련한 애로사항들이다.한국의 의료 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다 보니 증세를 스페인어로 설명하는 요령부터 평균 치료비, 심지어 노환으로 집 안에서 숨을 거둔 가족의 장례 절차에 이르기까지 문의가 잇따른다.그때마다 필요한 답을 찾아주는, 멕시코 교포 사회에서 '회장님'으로 통하는 교민이 있다.봉사단체 '사랑의 손길'을 운영하는 강덕수(58) '동그라미' 대표가 주인공이다.20여년 전 멕시코시티에 정착해 의류업으로 큰 성공을 거둔 강 대표는 2020년 팬데믹 기간 멕시코에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생을 마감하는 교민들의 사례를 접하면서 의료 분야에 특화한 봉사 단체를 만들었다. 한국 수녀회에서 운영 중인 멕시코 기숙학교 '찰코 소녀의 집'에 의류 기부 ['사랑의 손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 만난 강 대표는 "당시 고국으로 마스크와 기부금을 조금씩 보내다 제 주변에서 동포 5명이 돌아가시는 것을 보고 저 혼자보다는 더 많은 이와 함께 본격적으로 봉사해보자 하는 마음에 단체를 결성했다"며 "한인 동포 치료를 돕자는 마음이 컸다"고 말했다.강 대표는 '팬데믹 때 번 돈은 팬데믹 대응에 쓰자'고 다짐하고 사재로 마스크 100만장을 구입해 교민 사회 등에 기부했다.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경제적으로 곤궁해진 이들을 위해 2020년 20개 가정에 1만2천 페소(현재 환율로 86만원 상당)를 지원하기도 했는데, 그렇게 도움을 준 곳만 지금까지 130여 가족이라고 한다. 한 가정에는 병원비 등으로 100만 페소 서울 마포대교에 자살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글귀가 적혀 있다. [김호영 기자] 존재통(痛), ‘존재하는 것만으로 아프다’는 뜻의 이 같은 신조어가 청년들 사이에서 퍼져나가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청년 우울증, 극단적 선택 비율 1위 한국 사회가 마주한 현실이다. 23일 매일경제가 만난 청년 4명은 이 같은 괴로운 현실 속에서 각자 다르면서도 비슷한 이유로 “지쳐 도망치고 싶다”고 말했다. 이들에게 한국 사회는 학업부터 취업과 주거, 심지어 결혼까지 숨 쉴 틈조차 주지 않고 계속 경쟁으로 몰아넣는 쳇바퀴 같았다.20대 대학원생 “스스로 최면 거는 것 같아” 지난해 서울 소재 대학의 서어서문학과를 졸업한 정 모씨(25)는 1년이 지난 올해 같은 전공의 대학원에 입학했다.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자 대학원을 다니며 학업과 취준을 병행하려 한 것이다. 하지만 대학원에 진학한 진짜 이유는 취업 준비 중 얻은 범불안장애였다. 취업 준비를 시작할 3학년 2학기 무렵 정씨의 불안 증세가 시작됐다. 고교 시절부터 ‘좋은 대학’을 목표로 학업에만 매달린 그는 대학에 입학해서도 학점 관리에만 열중했다. 정씨는 “막상 취업 시장에 나가려니 ‘하고 싶은 일’도 ‘잘하는 일’도 없었다”며 “‘성적을 잘 받아야 한다’는 조급함 탓에 학교 공부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 경험을 할 시간을 가지지 못한 게 후회된다”고 말했다.취업에 하나둘씩 실패하자 주변의 격려는 점점 질타로 느껴졌다. ‘실패했다’는 생각에 불안감이 점점 커지자 결국 정씨는 대학원 진학을 선택했다. 정씨는 “(대학원 진학은) 불안 증세나 공백기를 가리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학교에 머무르니 당장 취업전선에 나서지 않아도 된다는 안도감이 생겼다. 스스로 ‘연구가 재밌다’고 최면을 거는 것도 같다”고 말했다.고시생에서 취준생으로 “부모님께 죄송해서” 서울 신림동의 3.5평짜리 원룸에 사는 김 모씨(28)는 공인회계사(CPA) 시험 교재를 처음 펼치고 어느덧 4년이 지났다. 두 차례 불합격 후 취업을 준비하기 시작한 김씨는 아직 원하는 직무조차 정하
멕시코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