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시사저널=이석 기자)대한민국이 저성

onion

5

25-07-12 20:39

(시사저널=이석 기자)대한민국이 저성장·저출생의 늪에 빠졌습니다. 인구 소멸은 곧 지방소멸을 뜻하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날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도, 주거도, 육아도 빠진 지방 중소도시에서는 청년이 떠나고 노인만 남는 현실이 고착되고 있습니다. 소멸과 집중의 속도를 늦추고 균형을 회복하는 일은 지금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이는 지역균형발전을 약속한 이재명 정부의 시급한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시사저널은 2025년 말까지 지방소멸과 수도권 집중의 현장, 쟁점, 대안을 심층 추적하는 연중기획을 준비했습니다. 특히 각 지역 독자 여러분의 생생한 제보를 바탕으로 삶의 현장을 밀착 취재할 예정입니다. [편집자 주] 대구 달서구 본리동의 한 아파트 단지가 야간에도 불이 꺼져 있다. ⓒ시사저널 최준필 지난 7월7일 오후 3시, '대구의 명동'으로 불리는 중구 동성로는 과거의 화려함을 잊은 듯 쓸쓸한 풍경을 자아냈다. 한때 이곳은 서울 명동, 부산시 서면과 함께 전국 3대 상권으로 꼽혔다. 1990년대까지 랜드마크였던 대구백화점 본점 매출이 신세계 본점을 압도할 정도였다.시간이 지나면서 이 동성로의 명성이 많이 약해졌다. 동아백화점 본점을 시작으로 노보텔, 롯데 영프라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잇따라 문을 닫았다. 젊은층의 약속 장소였던 동아백화점 본점 건물은 2021년 폐업 이후 4년째 방치된 상태다. 기자가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퇴근시간이 가까워졌음에도 중심 상권을 오가는 인파는 드물었다. 공실률도 급증했다. 동성로 중심상가 5곳 중 1곳이 비어있다 보니 '상가 임대'라는 플래카드가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이런 분위기 속에 젊은층이 빠져나간 동성로 주변은 40층 이상의 초고층 아파트촌으로 변모했다. 2020년대 초부터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포스코E&C, SK건설 등이 경쟁적으로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화려한 겉모습과는 달리 동성로의 속살은 타들어가고 있다. 입주가 4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 분양을 마무리짓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만난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삼성전자 공장이 들어서 있는 평택이나 아산의 경우 분양을 시작한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저서 ‘제2차 세계대전 회고록’에는 3군 참모총장 위원회에 관한 언급이 자주등장한다. 영국은 2차대전 기간 육해공 3군 참모총장들이 수시로 모여 전황을 분석하고 그에 맞춰 각군의 역할 분담을 조율했다. 때로는 그 자리에 처칠이 직접 참석해 군부 최고 지휘관들의 의견을 경청하기도 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육군은 육군대로, 해군은 해군대로 제각각 전쟁을 수행함으로써 영국군 전체로 따져 시너지 효과를 전혀 내지 못하고되레 자원만 낭비했다는 깨달음에서 비롯했다. 덕분에 영국은 독일, 일본 등 적국들과 비교해 육해공 3군 간의 협조가 훨씬 더 원활했다는 평가를 듣는다. 11일 서울에서 만난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왼쪽부터), 김명수 합참의장,요시다 요시히데 일본 통합막료장이 양손을 한데 모으고 있다.케인 의장은 공군 대장, 김 의장은 해군 대장,요시다 막료장은 육상자위대 대장이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연합뉴스 미국은 1947년에야 육군에서 공군이 떨어져나가독자적 군종(軍種)이 되었다. 2차대전 당시 미국은 육군과 해군만으로 싸운 셈이다. 이에 미국 행정부는 ‘육·해군 총사령관 참모총장’이란 직위를 신설하고 해군 대장 윌리엄 리히(훗날 원수로 진급)에게 이를 맡겼다. 여기서 육·해군 총사령관이란 곧 대통령을 의미한다. 한 명의 최고 지휘관이 육군과 해군의 무모한 경쟁을 자제시키고 양군의 의견을 종합해 대통령한테전달함으로써 대통령의 군통수권 행사를 원활하게 함이 목적이었다. 이는 전후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와 합참의장제도로 발전했다. 오늘날 미 합참에는 육해공군은 물론 해병대, 우주군, 주(州)방위군 수뇌부까지 참여한다. 세계 많은 나라가미국의 합참과 비슷한최상위 군사 기구를두고 있다. 그 최고 책임자인합참의장은 제복을 입은 현역 군인들 가운데 ‘서열 1위’로 통한다. 창군 당시부터 미군의 영향력을 많이 받은 한국이 대표적이다. 그런데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등에서는 군 서열 1위 장교가합참의장이 아닌 ‘국방참모총장’으로 불린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