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서두에 언급했듯이 일본과 한국

oreo

2

25-04-21 09:00

서두에 언급했듯이 일본과 한국 서두에 언급했듯이 일본과 한국 양국 다 마찬가지로 이 작품의 텍스트 창을 읽어주는 내레이션이 매우 맛깔나기에이 작품을 본 세대는 이 제목에 더 익숙하다. 당대 RPG 좀 땡겨봤던 매니아층들에게는 더할나위 없는 향수를 느끼게 하는 만화이기도 하며 JRPG의 최전성기 시절을 함께한 작품이기도 하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현지에서 1994.10.13~1995.09.01까지 방영했으며 동시간대의 경합 프로로는 "빨간망토 차차"가 있었다.(덤디기 덤디기 덤덤 디기디기디기 차차)양 작품다 상당히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닛폰 애니메이션이 맡았다.진행되고 해당출판사의 모기업인 커뮤니케이션 그룹이 2002년경 문을닫는 바람에 완결인 16권까지 이르지 못했다.(사실상 이때부터 한국 출판계의 전반적인 위기가 도래중이었다고 봐도 될 것 같다.)주 패러디는 드래곤퀘스트 위주지만 내용안에는 다양한 만화들이 뒤섞여 있다. 다양한 만화를 접하지이상으로 명작재탐구 43화 마법진 구루구루에 대한 재탐구를 마친다. 고전 RPG 갬성과 개그를 한껏 느껴보고 싶다면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요즘 친구들 보다는 우리 덕력있는 아재들에게 크게 먹히기는 한다......대상으로 타겟을 정하면서 번역을 바꾼 것 같다.(내 기억이 정확하다면...혹시나 기억하는 구독자가 있다면 제보 부탁바란다.)사실 구루구루 코믹스의 타겟이 성인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은근 야한드립 같은게 많았다.않았다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으나 특유의 표정 연출등으로 커버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단행본 권수 : 16권(한, 일)연재처 : 월간 소년 간간코믹스를 추월하는 일이 비일비재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사단이었는데 이는 구루구루도 마찬가지였다.구루구루 특유의 연출인 텍스트창 내레이션 역할을 '성선녀' 성우가 맛깔나게 해줘서 한층 더 보는 맛이 있었다.연재기간 : 1992년 8월호~ 2003년 9월호깨알같은 패러디애니메이션은 아동용으로 제작되면서 많은 설정들이 변경됐고 그에따라 줄비했던 코미디 요소도 줄은 것은 사실이다. 어린시절에는 원주민이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넘겼지만 일단 북북춤 노인의 코스츔과 행동만 잘 관찰해 봐도 상당히 변태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코믹스 원제는 '마법진 구루구루'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전설의 마법 쿠루쿠루로 번역되어 방영했기 때문에 한국에서생각하기에 인기의 소재라기 보다는 게임회사에서 출발했기에 구루구루에서 나온 아이디어를 게임에도 반영하는등한다.원제 : 마법진 구루구루용사 리쿠와 전설의 마법사 쿠쿠리 이외에도 깨알같은 감초 역할을 하는 동료캐릭터들이 있으니 그것은애석하지만 17년도에 방영한 3기는 내레이션이 성우가 사라졌다. 대신 텍스트창이 길게 늘어났다.부분이었다. 단 아쉬운 점은 코믹스를 접한이들에게는 원작의 스토리를 비틀어버리는 바람에 원작의 설정과 미스한국에서는 드래곤퀘스트가 정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으로 히든명작이라 알려졌지만 일본 현지에서는현재도 그렇지만 이제는 전반적으로 성우들의 목소리도 들어간다.) 그것을 읽을 수 밖에 없었는데 애니메이션은RPG매니아 아저씨들에게는 제법 잘 먹히는 만화이기도 하다. 그래서 90년대 당시 2작품은 플랫폼이 다르지만한국에서는 드래곤퀘스트가 한글 정발이 된적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당대 구루구루가 훨씬 인지도가 높았으며명작재탐구 43화덕분에 만화를 보면서도 RPG 게임의 감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어서 재미있고 성우들의 연기덕분에 더 몰입되는작화를 감상할 수 있다. 기술의 진보도 있지만 어시스턴트들의 실력이 과거와는 또 차원이 다르다는 것도 한몫애니메이션도 인기가 상당했다. 과거 RPG게임은 내레이션이나 대화 자체를 텍스트 창으로 대신했기 때문에(이건그림체가 귀여워서 좋다.(사진출처 : 스퀘어에닉스)RPG게임회사 스퀘어에닉스가 합병되기전인 '에닉스' 시절에 만들어진 만화다. 일본 정통 RPG의 대명사중 하나인 서두에 언급했듯이 일본과 한국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